학술논문
요르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내 말마디 경계 장음화 현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utterance-final lengthening in sentence medial position in the Korean speech of Jordani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스라 하산(Esraa Has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1호, 175~19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르단 아랍어 강세 규칙이 한국어에 부정 전이를 일으켜 외국인 억양으로 지각되는지를 음향 분석을 통해 살펴봤다. 한국어 원어민 화자들은 말마디 경계에 모음 길이를 늘려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즉, 말마디 경계에서 장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이 요르단 아랍어 화자 발화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모국어의 간섭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해 여덟 개의 문장 내에 놓인 여덟 개의 목표어의 모음 길이를 측정하였다. 요르단 아랍어 화자의 발화에서의 말마디 경계의 모음 길이를 측정하여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모음 길이와 대조하였다. 그 결과, 요르단 아랍어 화자의 발화에서 어말 제2음절에 강세가 부과될 경우는 어말 제3음절에 강세가 부과될 경우에 비해 말마디 경계에 긴 모음 길이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요르단 아랍어의 강세 규칙이 말마디 경계의 모음 길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강세 외에도 요르단 아랍어 화자의 한국어 발화에서 부정 전이를 일으키는 다른 요소를 밝히기 위해 후행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emporal aspect of utterance-final lengthening in the Korean speech of Jordanian learners in which a foreign tone was observed, especially on the boundaries of words followed by a stop. Although these pauses are usually accompanied by vowel lengthening in the Korean language as well, the vowel lengthening made by Jordanian speakers seems to be different. To discover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this study assumed that stress position in Jordanian Arabic affects utterance-final lengthening in Korean.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examined the vowel duration of eight targeted words inserted into the middle of eight sentences followed by pauses. Resultantly, a longer vowel duration was observed in the speech of Jordanian learners when the stress fell on penultimate syllables, whereas ordinary vowel duration was observed when the stress fell on the antepenultimate pos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o reveal whether there are other aspects of the mother language that may be considered to interfere with the Korean language speech of Jordanian learner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실험 절차
4. 실험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부모역량 강화 프로그램 설계 방안
- 자기주도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재외동포 청소년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고찰
-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시각적 요소의 변화 경향성 연구 - 1990년대부터 2010년대 교재를 중심으로
- 중국계 결혼이주민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 목적 교육으로서의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요르단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장 내 말마디 경계 장음화 현상 고찰
- 한일 교류사 활용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 유학 대학생들의 학문적 요약문 글쓰기 - 한국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