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이용수  2

영문명
A Possibility of Using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Strategy” in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규훈(Kyooho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생태학적 관점은 관계성과 총체성을 핵심 명제로 삼고 있다. ‘생태학적 언어 학습론’은 이러한 핵심 명제를 바탕에 둔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언어 학습에 관한 이론 체제로서 ‘관계성, 맥락, 유형과 체계, 창발, 질, 가치, 비판성, 가변성, 다양성, 활동’ 등을 특징으로 지닌다. 한국어 어휘 교육은 삶으로서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어휘의 본질적 개념에 비추어볼 때, 생태학적 언어 학습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특히 생태학적 교수 전략은 한국어 어휘 학습에서 ‘환경, 맥락, 협력 중심성’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행동유도성, 예기, 확장된 ZPD’라는 생태학적 교수 전략은, 한국어 어휘 학습에서 어휘 탐구를 유도하는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고, 맥락성이 부여된 어휘 과제를 제공하며,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어휘 학습을 설계하게끔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생태학 적 언어 교수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수업을 관용어 탐구를 중심으로 설계하여 그 실현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strategy” in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The perspective of ecology have core theses as the relations and the wholeness. “Ecological language learning” i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Features of this theory have key words of “relations, context, pattern and system, emergence, quality, value, critical, variety, activity”. Korean vocabulary education needs to adopt the ecological language learning because the essential concept of the lexicon denotes the meaning of language by which we live. The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strategy can be particularly maximized by the “environment, context, and cooperation-based” approach already followed in the field of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In more concrete terms, there are three strategies of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affordance, prolepsis, and expanded ZPD. Affordance creates an appropriate environment in which to induce inquiry into the lexicon, prolepsis provides a vocabulary task with rich context, and expanded ZPD helps learners to interact with their peers in the process of vocabulary learning. Based on these ecological language teaching strategies, this study judges the realization of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by designing the “idioms” inquiry.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생태학 관점과 ‘생태학적 언어 학습’의 특징
3.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
4.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수업 설계의 예
5. 연구의 요약과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훈(Kyoohoon Kim). (2018).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한국언어문화학, 15 (1), 1-23

MLA

김규훈(Kyoohoon Kim). "한국어 어휘 수업에서 ‘생태학적 언어 교수 전략’의 활용 가능성." 한국언어문화학, 15.1(2018):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