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mathematics curriculum organization of science high school for the gift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한현구(Hyungu Han) 임해미(Haemee R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3호, 393~4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학영재학교 8개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과학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에서 개설된 수학 과목의 내용 요소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편제된과목의 내용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AP(Advanced Placement) 과목,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지 않지만 과학영재학교에서 추가로 학습하는 과목의 내용 요소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학교에서의 수학과 교육과정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실용 통계>, <고급기하> 등에 포함된 과목의 내용 요소에 있어서 다소 낮은 반영률을 보였으며, AP 교육과정의 <확률과통계> 과목 편성이 부족한 편이며, <선형대수학>, <미분방정식>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있었다. 또한 국내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국외 과학영재학교 3개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국외 과학영재학교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 이수학점이 더 많거나 다양한 선택 과목을 지원하는 등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폭넓은 학습을 지원하고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학 인재를 양성하는 과학영재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서 유연함과 개방성이 요구된다는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eight domestic science gifted schools to derive implications to consider when organiz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domestic gifted schools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study compared the content elements of mathematics subjects offered in science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with thos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dditionall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Advanced Placement (AP) subjects and other subjects that, while not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re additionally studied at these science high school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science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showed a relatively low reflection rate of content elements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uch as , , and . Moreover, there was a noticeable lack of the subject in the AP curriculum.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tent covered in and when organizing future curricula.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a in three international science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indicated that these institutions generally offer more credit hours and a wider variety of elective subjects, thus ensuring greater flexibility and broader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his suggests tha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domestic science high schools for gifted students should embrace more flexibility and openness to effectively nurture mathematical tal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과학영재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Ⅳ. 국외 과학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활용에 관한 중등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 맞춤 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
- 중등 예비교사의 삼각형의 외심 과제 설계 사례 분석: 정당화 과정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넓이로서의 정적분 정의에 따른 교수학적 난점 및 대안 탐색
- 중등수학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따른 수업목표 이해 및 과제 선별
- 공학 도구 기반의 보조 구성 도형 분석을 통한 논증 기하 학습 방법 탐색
- 평면도형의 이동에서 모양과 방향의 변화에 대한 학생의 이해
- ChatGPT의 수학적 성능과 오류 분석: 다중양식적 접근을 통한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과학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7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