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ents'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hape and direction in the transformation of plane figure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홍갑주(Gap Ju Hong) 김판수(Pan Soo Kim) 이예지(Ye J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3호, 345~3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학교 교과용도서에서 도형의 이동(밀기, 뒤집기, 돌리기)에 따른 도형의 모양과 방향이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분석하고, 검사지를 작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양과 방향에 대한 이해 상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모양의 의미를 일관성 없이, 문제에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했다. 뒤집기나 돌리기에 의해 모양 또는 방향이 변하지 않는도형을 찾는 과제에서 학생들은 각각의 도형이 그 자신과 겹치는가를 기준으로 답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 모양과 방향에 관련된 교과서의 언어적 표현과 활동에 내재한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으로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즉, 3~4학년군에서는 밀기, 뒤집기, 돌리기의 다양한 조합을 관찰하는 것,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 연계 활동이나 흥미로운 문제 해결 활동을 하는데 중점을 두며, 같은 모양인지를확인하는 활동은 5~6학년군에서 합동 개념과 함께 좀 더 충실하게 다루자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hape and direction of figures are addressed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s (translation, reflection, and rot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vestigates 5th-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shape and direction through a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nterpreted the meaning of shape inconsistently, varying their understanding based on the given context. In tasks requiring students to identify whether the shape or direction of a figure remained unchanged after reflection or rotation, their responses were influenced by the symmetry of each fig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s inherent in the linguistic expressions and activities related to shape and direction in the textbooks.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for 3rd and 4th graders, the focus should be on observing various combinations of translation, reflection, and rotation, and engaging in art-related activities or interesting problem-solving tasks. Activities that involve identifying whether shapes are the same should be more thoroughly addressed in the 5th and 6th grades, alongside the concept of congruen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교과용도서에서 사용한 모양과 방향
Ⅳ. 학생의 이해 상태 조사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활용에 관한 중등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 맞춤 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
- 중등 예비교사의 삼각형의 외심 과제 설계 사례 분석: 정당화 과정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넓이로서의 정적분 정의에 따른 교수학적 난점 및 대안 탐색
- 중등수학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따른 수업목표 이해 및 과제 선별
- 공학 도구 기반의 보조 구성 도형 분석을 통한 논증 기하 학습 방법 탐색
- 평면도형의 이동에서 모양과 방향의 변화에 대한 학생의 이해
- ChatGPT의 수학적 성능과 오류 분석: 다중양식적 접근을 통한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과학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7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