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otential of ChatGPT in mathematics education: Analyzing mathematical performance and errors through a multimodal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이기마(Gima Lee) 김희정(Hee-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7권 제3호, 363~3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OpenAI의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의 수학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위해, ChatGPT의 수학적 성능을 다중양식(multimodal) 접근(언어 및 이미지 처리 성능평가)으로 분석하였다. 중학교 수학 수준의 1,836개의 문제 이미지를 입력하여 정답률, 오류율, 오류의 특징·패턴·발생 맥락을 평가하였으며, 풀이 과정의 무결성은 정확성, 관련성, 투명성, 유창성, 안전성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ChatGPT는 문자와 식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정답률을 보였지만, 기하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ChatGPT의 수학적 오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인식 오류는 빈도가 높고 연쇄적으로 다른 오류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오류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문제에 언어적·기호적·수치적 설명을 추가하는 전략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ChatGPT 의 수학 문제 풀이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학 문제 해결 학습, 맞춤형 튜터, 문제 만들기, 문제 채점 및 오류 분석 등의 수학교육적 활용 가능성을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ChatGPT의 수학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Large Language Models (LLMs) like OpenAI’s ChatGPT in mathematics education by analyzing its mathematical performance using a multimodal approach that includes language and image processing evaluations. A total of 1,836 middle school-level mathematical problem images were input to assess accuracy rates, error rates, and characteristics, patterns, and contexts of errors. The integrity of the solution processes was evaluated in terms of accuracy, relevance, transparency, fluency, and safety. The analysis revealed that ChatGPT generally maintained high accuracy rates in the algebra domain but showed relatively lower accuracy in the geometry domain. Notably, recognition errors were found to be frequent and often triggered a chain of subsequent errors, making them a key area of concern. Strategies to mitigate these errors included enhancing the linguistic, symbolic, and numerical explanations provided with the problems. Furthermore, through an analysis of ChatGPT’s problem-solving processes, the study identified its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in areas such as problem- solving, personalized tutoring, problem posing, and grading and error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multimodal analysis and confirms the potential of ChatGPT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offers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ensure its reliable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Ⅵ.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학 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활용에 관한 중등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학습자 맞춤 교육 실현을 위한 과제
- 중등 예비교사의 삼각형의 외심 과제 설계 사례 분석: 정당화 과정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넓이로서의 정적분 정의에 따른 교수학적 난점 및 대안 탐색
- 중등수학교사의 수학적 신념에 따른 수업목표 이해 및 과제 선별
- 공학 도구 기반의 보조 구성 도형 분석을 통한 논증 기하 학습 방법 탐색
- 평면도형의 이동에서 모양과 방향의 변화에 대한 학생의 이해
- ChatGPT의 수학적 성능과 오류 분석: 다중양식적 접근을 통한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과학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7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