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안

이용수  14

영문명
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Organization of Content Schemes for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Area in 2015 Revised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지윤(Ji-Yoon Jung) 조윤주(Youn Joo Cho) 최경은(Kyeong-E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1호, 249~26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을 교육과정의 범위와 틀 내에서 향후 교과서 집필 시 지침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되었으며, 교육과정의 핵심내용, 성취기준과 용어, 범위 등의 정교화, 명확화 그리고 재진술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습의 계열성 및 연속성 차원에서 성취기준의 순서를 [6실02-07]옷의 기능과 장소, 상황에 맞는 옷차림, [6실02-07]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 [6실02-05]바느질의 기초와 수선, [6실02-06]생활소품 제작으로 재배치하고 교과서 단원을 구성한다. 둘째, 성취기준별 수업 차시배정을 교수·학습활동을 고려하여 실습수업의 경우 차시 및 교과서 집필분량을 추가 배정한다. 셋째, 성취기준 해설 [6실02-06]의 ‘다양한 바느질 도구’를 ‘손바느질과 뜨개질 도구’로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시한다. 넷째, ‘생활소품 만들기’ 수업은 지속가능교육, 다문화교육, 전통문화교육, STEAM교육, 창의성 교육, 인성교육 등과 연계한 교수·학습활동으로 단원을 구성한다. 다섯째, 핵심개념 안전에 해당하는 성취기준 [6실02-07] 관련 수업 외에 [6실02-05] ‘생활소품 만들기’ 수업의 단원에 교구의 안전한 사용, [6실02-08] 생활 안전사고의 종류와 예방 방법에 의생활에 관련한 도구의 안전한 사용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섯째, 의생활단원의 수업에 진로 체험적 교수학습활동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상의 결과들이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의 교과서와 교육현장에서 잘 구현된다면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에서의 의생활교육이 보다 완성도 높게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sidered the elaboration, disambiguation and restatement of key contents, achievement standard, terms and ranges of the clothing& textile education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presents the schemes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guidelines of writing textbooks with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 needs to be rearranged for sequences of education and organized as follows [6sil02-07]the function of textile and TPO of clothing, [6sil02-07]the healthy and safe clothing, [6sil02-05]the basic of sewing and mending, [6sil02-06]making living goods production. Second, for the practical lessons, consider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achievement standard class times and the amount of writing textbooks contents need to be increased. Third, in [6sil02-06]the achievement standard assessment, 'various sewing tools' should be clarified as 'hand sewing and knitting tools'. Fourth, 'making living goods' class should be organized 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sustainable education, multi-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STEAM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Fifth, besides [6sil02-07]the class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 of key concept related to 'safety', the following contents should be incorporated; the safe use of class tools in [6sil02-05] ‘making living goods’ class, the safe use of tools related to clothing in [6sil02-08] the cases and prevention of the life safety accidents. Sixth, career experienc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need to be incorporated in clothing unit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eformed well, more efficient education is considered will be operated clothing & textiles in textbook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목차

I. 서론
II. 학교교육을 통한 실과 의생활교육의 변천
III. 실과교과를 통한 현대 의생활교육의 의의, 가치와 방향
IV.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의 탐색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윤(Ji-Yoon Jung),조윤주(Youn Joo Cho),최경은(Kyeong-Eun Choi). (2016).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1), 249-263

MLA

정지윤(Ji-Yoon Jung),조윤주(Youn Joo Cho),최경은(Kyeong-Eun Choi).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1(2016): 249-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