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21

영문명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SD-Based Economic Educational Program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신배은(Bae Eun Shin) 이상원(Sang Wo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1호, 75~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7 및 2009 개정교육과정의 5학년 교과서와 지도서를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요소를 분석하여 내용을 추출한 다음,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단계를 거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경제인식, 경제의식, 경제습관을 포함한 경제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5학년 1개 반을 대상을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적용하여 7주에 걸쳐 총 8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한진수(2013)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포트폴리오와 관찰 및 면담 자료를 통해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7 및 2009 개정교육과정에는 국어, 도덕, 실과 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경제영역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2007 및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경제영역에 관련 내용을 추출한 다음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을 고려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비의 기준 변화 및 경제생활에 대한 제고에 대한 기회 제공 등 경제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경제 활동에 관심을 나타내었으며, 학생들의 소비 기준 변화 및 경제생활 향상에 대한 기회 제공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경제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라 할 수 있으므로, 초등학생들의 대상으로 경제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ESD-based economic educational program, and inspect to the influences of the ESD-based economic educational program on economic attitude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five major stages based ADDIE model : (1) analysis, (2) design, (3) development, (4) implementation, (5) evaluation. The experiment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program applied to a creative activity class in every week for 7 weeks.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Han(2013)'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n students' economic attitudes.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included the contents on the economic area of ESD in national language, ethics, practical arts and social subject. Seco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restructured the ESD-based economic educational contents extracted from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attitud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roug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portfolio, observation and interview, most students had an interest in economic activities an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standard for consumption and opportunities for enhancing economic life. In conclusion, the ESD-based economic educational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5th grade student's economic attitudes. Therefore, it suggested, as follow-up activities, that more intensive researches related this study be conducted, linking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배은(Bae Eun Shin),이상원(Sang Won Lee). (2016).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 (1), 75-95

MLA

신배은(Bae Eun Shin),이상원(Sang Won Lee).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1(2016): 7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