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the Knowledge, Cognition, Behavior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al Needs Level on Endocrine Disrup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in focus of metropolitan area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혜영(Hey Young Kang) 이상원(Sa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9권 제1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인식·노출저감화 행동 및 교육요구 수준을 조사함으로써, 초등교육과정에 있어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초등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과 인식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학년보다 6학년의 지식 및 인식 수준이 높았고, 내분비계 장애물질 관련 교육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지식과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관심수준·정보획득 용이도·정보이해 용이도는 평균 수준 이하였으며, 위험에 대한 인식 및 불안수준은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교육요구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해 가장 궁금한 것으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뜻, 들어있는 제품, 문제해결 방법의 순이었고, 배우고 싶은 학습방법으로는 체험학습, 만화시청, 실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노출저감화 행동수준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에서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관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할 뿐만 아니라 지식이 일상생활에서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식 중심이 아닌 노출저감화 행동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으로 전개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recognition, exposure reduction behavior and educational demand level on endocrine disrupt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1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Gwangmyeong, Hanam and Gwangju City). Frequencies analysis, t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i-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level on endocrine disrup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low generally. And the level of the 6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5th graders. The group who had endocrine disruptors related to the education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group who did not have the experience in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level on endocrine disruptor. The level of interest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acquisition/ understanding appeared to be average. The educational demand level on endocrine disruptors was found to be above average. The top of the about curiosity on endocrine disruptors was the meaning of endocrine disruptors product contents, and problem solution follows. The preference of learning method was field trip, watching cartoon and experiments. The exposure reduction behavior level on endocrine disruptors appeared to be satisfactory. Although the 6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the exposure education behavior level was higher in the 5th grade students. This shows antithetical result that as the grade gets higher in the knowledge, the level gets higher but the exposure reduction behavior level gets lower.
In conclusions, the education on endocrine disruptors in elementary school need to be deployed to raise the level of exposure reduction action rather than the knowledge and to practice in daily life through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endocrine disruptor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실과 교과서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의 용어 통일에 관한 연구
- 제주발명축제의 운영 동향 및 가치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STEAM)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2011개정 특수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과서 활용 실태 및 2015개정 특수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 2015 개정교육과정 실과 의생활교육영역에 대한 평가 및 내용 구성 방안
- 교과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관한 초등학생의 지식, 인식, 노출저감화 행동 및 교육요구 수준 연구 -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농업내용 분석과 지속가능한 농업교육에 대한 제언
-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 융합인재교육(STEAM) 확산 요인 도출: Rogers의 ‘혁신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 초등학생의 컴퓨터·스마트폰 게임중독이 ADHD성향에 미치는 영향: 수면 및 식사문제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 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아동의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