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이용수  53

영문명
Written Texts, Long Term, and Comparative Perspective : An Opinion about the Research Method for East Asian Envoys’ Record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저자명
장백위(Bowei Zhang)
간행물 정보
『동아한학연구』제18호, 171~1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行紀라는 개념을 한국, 일본, 그리고 일부 중국 학자들이 燕行錄으로 즐겨 표기하고 있지만, 문체의 연원, 개념의 중립성, 현대 학술 연구의 “共名” 측면에서 보자면 여전히 “행기”라는 명칭이 더욱 적절하다. 본고는 문헌, 장기지속, 그리고 비교시각이라는 세 측면에서 동아시아 행기의 연구 방법을 논한다. 여기서 “문헌”의 접근법은 희귀한 문헌의 발굴, 필사본 이본의 교정과 같은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해제와 문헌분석 뿐 아니라, 문헌의 同異에서 발현되는 그 배후의 사상 동인과 위조품을 형성시킨 문화 심리를 강조한다. “장기지속”은 프랑스 역사학자 브로델의 역사학 개념으로, 특히 심리사 연구에 적합하다. 행기 자료 자체는 한 계열의 연속적 문헌이지만, 완만하고 적층적인 역사 구조의 “단절점”을 더욱 명확하게 발견하기 위해서는 장기지속의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 개념은 과거에서 유래되었지만, 그 연구의 지향은 미래로 향한다. “비교”는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인데, 이를 작은 범위로부터 큰 범위까지 나열하자면, 개별 서적의 비교, 동일한 계열 내 다른 책들의 비교, 다른 계열의 책들 간의 비교가 있다. 胡適當年이 제시한 “三術”에 대응하는 오늘날 인문학 연구의 “新三術”은 역사적 시각, 비교 연구, 다원적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문헌
2. 장기지속
3. 비교시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백위(Bowei Zhang). (2024).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동아한학연구, (), 171-196

MLA

장백위(Bowei Zhang).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동아한학연구, (2024): 171-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