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국과 조선 사신이 기록한 중국 연희 내용 비교
이용수 53
- 영문명
- Comparison of Chinese Opera Records by Envoys from Chosŏn, Britai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육숙정(Shu Ting Lu)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8호, 77~1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과 영국 사신이 기록한 청나라 연희 내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우선 양국 연희 기록의 언어와 편폭, 구성원과 장소, 시간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다음으로 한 국가에서 사신 문헌의 내부 관계와 타국의 사신에 의해 작성된 중국 연희 관련 문헌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문학 형상학 이론을 토대로 전이해가 사신의 연희 이해 수준과 관람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그 문학 기록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고는 사신 문헌을 기반으로 중국 사료에서 고증하기 어려운 지점을 보완하여 각국의 고유한 문화 전통은 물론 중국에 대한 정치 이념을 고찰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records of Chinese operas written by envoys from Chosŏn, Britain during their visits to China in the Qing Dynasty. This article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not only in the language and length but also in their observations of the members, place and time. Secondly, the article examines the internal connections within various envoys’ documents as well as their relations to documents from other countries in Chinese operas. Finally, drawing on relevant theorie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image studies, the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their pre-existing understandings on their ways of watching, such as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eir attitudes towards watching operas, and further points out the value of these literary records. By studying these literary records, the article contributes to using envoys’ documents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and reflect the cultural traditions of various countries, including their political ideas towards China.
목차
1. 서론
2. 사절단의 기본 배경 소개
3. 사행 문헌의 관계성
4. 전이해의 영향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한학연구 제18호 목차
- 영국과 조선 사신이 기록한 중국 연희 내용 비교
- 乃菴 崔左海의 經學 硏究 (1)
-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 비교 글로벌 인문학, 지금!
- 조선시대 杜詩學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서 : 左江 著 『杜詩與朝鮮時代漢文學』(中華書局, 2023)에 대한 서평
-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장르별 한문 고전 번역원리 一考察: The Korea Magazine을 중심으로
-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