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이용수 55
- 영문명
- The Marks and Criticism in the Sŏsansŏnsaeng Chinmunch’ung- gong Munjangjŏngjong(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Printed with Kŏngja Type Housed in Korea University Library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노요한(Johann Noh)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8호, 39~7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만송문고 소장 경자자본 『문장정종』에는 본문에 評點이 朱墨과 藍墨으로 표시되어 있고 天頭에도 마찬가지로 주묵과 남묵의 評語가 書入되어 있다. 조선 문인의 손으로 서입된 만송문고 소장 『문장정종』의 평점과 평어는 어떠한 원칙을 바탕으로 표시되고 작성되었으며, 이때 참조 준거가 된 서적이 있을까. 성종연간에 甲辰字로 인출한 『韓文正宗』에는 평점과 함께 批註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만송문고 소장 『문장정종』의 평점 및 평어와는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을까.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염두에 두면서 고려대 만송문고 소장 경자자본 『문장정종』에 서입된 평점과 평어에 대해 논해보았다.
영문 초록
The Mansong collection at Korea University Library has a rare book of Munjang chŏngjong printed with Kŏngja type, which includes commentary points (評點) dotted with red and blue brushes on the text, and marginal commentaries (評語) written also with red and blue brush on the upper part of the text, tiantou (天頭), by a Chosŏn scholar. What were the principles and rules of the commentary points added by a Chosŏn scholar and what contents do the marginal commentaries have? Were they added and written based on his own criteria for criticism, or did he consult any books for reference? Is there any connection between Munjang chŏngjong in the Mansong collection and Hanmun chŏngjong(韓文正宗) published with Kapchin type (甲辰字)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jong, which included commentary points and comemntaries (批註)? This paper examines the commentary points and marginal commentaries added to Munjang chŏngjong in the Mansong collection, focusing on the above questions.
목차
1. 들어가며
2. 만송문고 소장 경자자본 『문장정종』 개관
3. 만송문고 소장 『문장정종』의 평점과 평어
4.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한학연구 제18호 목차
- 영국과 조선 사신이 기록한 중국 연희 내용 비교
- 乃菴 崔左海의 經學 硏究 (1)
-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 비교 글로벌 인문학, 지금!
- 조선시대 杜詩學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서 : 左江 著 『杜詩與朝鮮時代漢文學』(中華書局, 2023)에 대한 서평
-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장르별 한문 고전 번역원리 一考察: The Korea Magazine을 중심으로
-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