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乃菴 崔左海의 經學 硏究 (1)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f Naeam Choi Jahae’s Confucian Classics (1)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이동학(Donghak Lee)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8호, 9~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乃菴 崔左海의 삶과 학문 속에서 교유관계와 문인집단의 면모, 집체저술의 양상과 五書 체재의 성립 배경을 검토하였다.
최좌해는 성호학파 및 낙론계 인물들과 교유하였고, 그 중 학문적으로 안정복 계열에 가까웠다. 노론 낙론계 내에서는 비중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최좌해의 문하에는 17인의 혈연중심적 문인집단이 있었고, 문인들은 강의록으로 최좌해의 유지를 계승하여 경전 주해서를 집체 저술하였다.
『효경』을 중심으로 사서를 결합한 五書를 주장한 이는 최좌해가 유일한데, 그 배경에는 성호학파 인물들 사이에 공유되었던 孝悌觀이 있었다. 이를 조선 유학사상 전례없는 『효경』 중심의 五書 체재로 승화시킨 것이 최좌해와 문인집단이 남긴 업적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scholarship of Naean Choi Jahae, focusing on his relationships with fellow scholars and literary groups, the collective authorship of tex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Five Books(五書) framework. Choi Jahae was associated with the Seongho School and the Naklon, aligning academically closer to An Jeong-bok, though he seemed to have a lesser significance within the Naklon.
Under Choi Jahae, there was scholarly circle included a group of 17 kinship-centered literati who collectively authored commentaries on the classics, inheriting and perpetuating Choi Jahae’s teachings through lecture notes. Uniquely advocating for the Five Books framework centered around the Xiao Jing(孝經), Choi Jahae's stance was underpinned by the shared values of filial piety and fraternal duty among the Seongho School scholars. This novel elevation of the Xiao Jing at the heart of the Five Books framework represents an unprecedented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left by Choi Jahae and his literary group.
목차
1. 서론
2. 崔左海의 삶과 학문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한학연구 제18호 목차
- 영국과 조선 사신이 기록한 중국 연희 내용 비교
- 乃菴 崔左海의 經學 硏究 (1)
-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 비교 글로벌 인문학, 지금!
- 조선시대 杜詩學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서 : 左江 著 『杜詩與朝鮮時代漢文學』(中華書局, 2023)에 대한 서평
-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장르별 한문 고전 번역원리 一考察: The Korea Magazine을 중심으로
-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