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이용수 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s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ange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김영옥(Youngog Kim)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8호, 139~1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공식적인 문자 표기 방식이 한자에서 한글로 전환되는 1894년 高宗 勅令 반포를 기점으로, 이후 어문 정책에 따라 한국의 漢字敎育 정책이 변천되는 과정과 그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기별 어문 정책과 그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 변천 과정의 특징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어문 정책이다. 1894년 ‘고종 칙령’, 1948년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 2005년 ‘국어기본법’ 등이 한자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정책, 법규였다.
둘째,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이다. 어문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한자 폐지론, 초ㆍ중등학교 한자교육, 국어과에서의 한자교육, 한자 병기, 상용한자 제정,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제정 등 한자교육 정책이 시행되었다.
셋째, 향후의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提言이다. 기존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검토를 통해, 향후 한자교육 정책을 제안, 수립, 시행하는 데에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 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것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차원의 어문 정책이 한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한자교육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일정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Korea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after 1894.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by period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Korean Language Policy according to the periods.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was related to the ‘Order of King Gojong’ in 1894, the Act on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in 1948, and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in 2005.
Second, it is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riting Chinese characters with Hangeul side by side, enactment of Commonly use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s used when educating Chinese characters.
Third, an opinion on the fu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rough a review of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Policy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e measures necessary to propose, establish, and implemen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were propos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e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olicy in detail.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futur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 : 1945년 이전
Ⅲ. 어문 정책과 한자교육 정책 : 1945년 이후
Ⅳ. 어문 정책에 따른 한자교육 정책의 특징
Ⅴ. 한자교육 정책에 대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아한학연구 제18호 목차
- 영국과 조선 사신이 기록한 중국 연희 내용 비교
- 乃菴 崔左海의 經學 硏究 (1)
-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 어문 정책에 따른 漢字敎育 정책 변천 과정 연구
- 비교 글로벌 인문학, 지금!
- 조선시대 杜詩學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서 : 左江 著 『杜詩與朝鮮時代漢文學』(中華書局, 2023)에 대한 서평
-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장르별 한문 고전 번역원리 一考察: The Korea Magazine을 중심으로
- 문헌, 장기지속, 비교시각 : 동아시아 行紀 연구 방법에 대한 의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