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구어적 종결 표현 교육 연구 - 종결기능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이용수 67
-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 of Ending Sentences with Connective Endings in Colloquial Korean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손마정(Ma Jeong S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8권 1호, 87~12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구어는 문어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다. 그 중 하나는 종결어미가 아닌 요소들에 의해 종결되는 문장이 많다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연결어미로 문장이 끝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이러한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이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한국어 회화 교재를 통해 점검해볼 것이다.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인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에서 연결어미에 의해 종결되는 문장의 빈도와 양상을 살핀 후 비교하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 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Korean, types of sentences are determined by endings. Therefore, it is crucial to educate usages of endings in learning Korean. Among them, Final endings are used to terminate sentences in Korean.
But in colloquial Korean, connective endings are often used to finish sentences.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ome connective endings such as ‘-거든’, ‘-고’, ‘-는데’, ‘-니까’, ‘-다고’, ‘-려고’, and ‘-어서’ are most frequently employed to end sentences. They are called 'connective endings functioning as final endings'.
This study analyzes several textbooks for teaching colloquial Korean in order to examine how those connective endings are educated. Most textbooks, those endings are presented as final endings without any detailed explanation after the indication of their usages as connective. Furthermore, enough practice is not given, either.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s Korean spoken sentences on talk shows, and presents a list of connective endings that are used to end sentence. As a results, ‘-(으)면’ and ‘-아/어가지고’ are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려고’ in final sentence positions.
However, Korean learners do not use ‘-거든’ and ‘-아/어가지고’ in spoken Korean. They use ‘-(으)면' in similar frequency as native speakers do. Even though its types of usages are very limited. Based on this observations, this study presents education methods of ‘-거든’, ‘-(으)면’ and ‘-아/어가지고’.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과 구어 문법
3. 한국어 구어에서의 종결 표현 발화 양상 분석
4. 구어적 종결 표현 교육 방안 연구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