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FL 환경에서 한국어 다독 수업의 실천 사례 - 일본 대학 교양 한국어 강좌에서의 실천 예를 중심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An Implementing Extensive Reading Program in foreign language setting: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course in a Japanese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어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창구(ChangG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어문화교육』제8권 1호, 27~6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독 프로그램을 일본 대학의 초급 한국어 과정에서 실천한 사례를 보고한다. 먼저,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다독의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살펴본 후, 다독을 2013학년도 전기 교양 한국어과정에 결합한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15주간에 걸친 다독 수업을 통해 1) 학습자들의 읽기 속도가 향상되었다. 2) C-test로 측정한 전반적인 한국어 능숙도는 향상되지 않았다. 3) 다독에 대한 감상을 묻는 설문지 결과, 다독이 즐거운 경험이었으며, 다독을 통해 어휘의 양적 지식뿐만 아니라 질적 지식까지 늘릴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2013학년도 후기 과정에 다독 프로그램을 접목한 방법-LMS(Moodle)을 추가하였다-과 그 결과를 보고한다: 다독을 통해 1) 학습자들의 읽기 속도가 향상되었다. 2) 전반적인 한국어 능숙도가 향상되었다. 3) 다독이 재미있는 활동이었고 한국어 학습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4) Moodle과 관련해서는 Moodle을 이용함으로써 시간이나 공간에 제약없이 읽기를 지속할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습자들은 Moodle이 번거롭고 작동하기 어려웠으며, 특히 단어 학습에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5) 이해확인문제의 경우, 읽기물의 단어들을 복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1년간의 다독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ports a case study of a class in using Extensive Reading(ER) program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ourse at a Japanese university. After summarizing ER’s educational effects, I describe how I incorporated ER program into 1st semester course. I also report the outcomes of this 15-week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improved their reading speed, but ER didn’t affect to their overall Korean proficiency according to C-test. I also found positive results in an effective questionnaire that measured attitudes toward ER. In the 2nd-half of the study, I introduce the way I incorporated ER into 2nd semester course(In the 2nd semester, LMS(Moodle) and comprehension check task implemented newly). And then, I report the outcomes of the 15-week program: the students improved their reading speed, and there was meaningful effect in overall Korean proficiency; positive attitudes toward ER. Regarding to the Moodle,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because they could read materials without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using it, but they also commented that using Moodle was inconvenient and inexperienced to operate it, and was not helpful to study words. About comprehension check activity, they answered it was helpful to review words in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ER could be incorporated into a college-level Korean course as a foreign language effectively.

목차

1. 들어가기
2. 학습법으로서의 다독
3. 다독의 실천
4. 나가기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구(ChangGoo Kim). (2014).FL 환경에서 한국어 다독 수업의 실천 사례 - 일본 대학 교양 한국어 강좌에서의 실천 예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화교육, 8 (1), 27-60

MLA

김창구(ChangGoo Kim). "FL 환경에서 한국어 다독 수업의 실천 사례 - 일본 대학 교양 한국어 강좌에서의 실천 예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화교육, 8.1(2014): 2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