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가톨릭과 개신교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설교 연구
이용수 107
- 영문명
- A Study on Sermons by Korean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 저자명
- 강동욱(Dong-Uk KANG)
- 간행물 정보
- 『가톨릭사상』제68호, 203~22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한국가톨릭교회는 국가의 방역 지침에 맞춰 기존의 방송 미사를 확대하여 신자들에게 말씀을 전달했다. 비대면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지만, 가톨릭 평화방송을 통한 미사는 효과적이었고, 온라인을 통해 신자들에게 필요한 신앙의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개신교회도 비대면 예배에 대해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비대면 예배를 통해 신자들의 참여를 유지했지만, 영적 나태함에 대한 반성도 필요했다. 개신교회는 개별 교회의 자원에 따라 비대면 예배의 완성도와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 모두 코로나19 이후에도 다음 팬데믹을 대비한 준비가 필요함을 발견했다. 미디어 리터러시, 저작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전통적 설교 방식과 더불어 회중과의 소통을 강화가 요구된다. 위기 상황에 맞는 새로운 설교 방법을 개발하고, 회중의 필요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매체를 활용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Korean Catholic Church expanded its televised Masses to comply with the country's quarantine guidelines and to reach the faithful. Although some people were not familiar with attending online Masses, Catholic Peace Broadcasting effectively provided religious content to the faithful. Protestant churches also had mixed feelings about online services. They aimed to keep their congregations engaged but also had to address concerns about spiritual laziness. The completeness and satisfaction of online services in Protestant churches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church resources. Both Catholic and Protestant churches recognized the need to prepare for future pandemics. Alongside traditional preaching methods, they need to improve media literacy, copyright awareness,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congregations so that they can develop new approaches and effectively address congregational needs through media.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 가톨릭교회의 조직적 대응
Ⅲ. 개신교회의 개별적 대응
Ⅳ. 코로나19 이후 과제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뤼기에르 신부 서한 연구 - 페낭과 방콕에서 보낸 서한
- ‘사목적 축복’에 대한 소고
- 『서유기』에 나타나는 삼교(三敎)연구
-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불행한 의식” 개념과 계시종교 안에서 이 개념의 의미에 관하여
- 마르 1,3에서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φωνή)”의 신원에 관한 고찰
- 교회 안과 밖의 소통을 위한 신학의 공통적 토대에 대한 연구: 루돌프 불트만과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 마태 14,27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표현에 관한 구조적-성서주석학적 연구
- 한국가톨릭과 개신교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설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