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불행한 의식” 개념과 계시종교 안에서 이 개념의 의미에 관하여
이용수 35
- 영문명
- On the Concept of “Unhappy Conscious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nd Its Meaning in Revealed Religion
- 발행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 저자명
- 박남일(Nam-Il PARK)
- 간행물 정보
- 『가톨릭사상』제68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진리의 인식을 위한 출발점은 현상지이며, 개념과 대상의 일치라는 현상지의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의식은 변증법적인 운동을 계속해서 수행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신은 모든 현실이 바로 그 자신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님을 확신하는 자기의식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의식은 이내 자신이 본질과 비본질, 보편자와 특수자를 오가는 자기 모순적 의식임을 발견하게 되며, 이 모순을 자각한 의식은 불행한 의식임이 드러난다. 불행한 의식이 이중적인 시선으로 보고 있는 불변자와 개별자의 화해의 시도가, 좌절이자 불행의 상징인 “무덤(das Grab)”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여러 철학자가 그리스도의 육화와의 관련성 안에서 해석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그리스도교 안에서 육화 혹은 강생의 사건을 이해할 때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본질, 즉 이것이 미리 예정됨의 역사와 부활 사건과의 총체적 연결성 안에서 이해되어야만 하는 신앙적 사건임을 간과한 채, 의식의 변증법으로 무리하게 해석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정신이 현상할 때 의식의 전개 과정이 역사 안의 사건으로 드러난다는 헤겔의 견해로 미루어볼 때, 그리스도의 강생 사건을 의식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불변자와 개별자에 대한 불행한 의식의 이중적 시선과 이것의 화해와 비교하고자 하는 시도는 종교적 측면에서 볼 때 관념론적 해석의 우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무신론적인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Hegel says that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cognition of the truth is knowledge of phenomena, and that consciousness continues to perform dialectical movements to reach the truth of knowledge of phenomena, which is the unity between concepts and objects. In this process, the mind reaches self-consciousness and assures that all reality is nothing other than itself. However, the self-consciousness soon discovers that it is a self-contradictory consciousness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essence and non-essence, universals and particulars, and the consciousness that is aware of this contradiction is revealed to be an unhappy consciousness. Many philosophers interpret the fact that the attempt to reconcile unchanging and individual, which the unhappy consciousness views with a double gaze, is revealed as a “grave”, a symbol of frustration and unhappiness, in relation to the incarnation of Christ. However, this interpretation unreasonably introduces and interprets the essence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when understanding the event of the incarnation in Christianity. It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overall connection with the history of predestination and the event of resurrection. Hegel says that when the spirit appear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ciousness is revealed as an event in history, and in this respect, comparing the event of the incarnation of Christ with the understanding of unchanging and individuals reveal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unhappy consciousness is an idealistic interpretation and an atheistic viewpoin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실존의 자리에서의 의식의 분열
Ⅲ. 『정신현상학』에서의 의식의 전개
Ⅳ. 분열된 자기의식의 투쟁
Ⅴ. 불행한 의식과 계시종교
Ⅵ.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뤼기에르 신부 서한 연구 - 페낭과 방콕에서 보낸 서한
- ‘사목적 축복’에 대한 소고
- 『서유기』에 나타나는 삼교(三敎)연구
-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불행한 의식” 개념과 계시종교 안에서 이 개념의 의미에 관하여
- 마르 1,3에서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φωνή)”의 신원에 관한 고찰
- 교회 안과 밖의 소통을 위한 신학의 공통적 토대에 대한 연구: 루돌프 불트만과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 마태 14,27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표현에 관한 구조적-성서주석학적 연구
- 한국가톨릭과 개신교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설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