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회 안과 밖의 소통을 위한 신학의 공통적 토대에 대한 연구: 루돌프 불트만과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52
- 영문명
- A Study of the Common Grounds of Theology for Communication Inside and Outside the Catholic Church: Focusing on Rudolf Bultmann and Karl Barth
- 발행기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 저자명
- 신성원(Sung-Won SHIN)
- 간행물 정보
- 『가톨릭사상』제68호, 101~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회의 안과 밖에서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고유한 주장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과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공통적인 토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안과 밖으로 나뉘는 경계는 너무 방대한 길고도 넓은 영역이지만 직접적인 계시를 통해서 하느님을 알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과 자연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것들을 통해서 하느님을 알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공유하는 않는 부분들과 공통적인 부분들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서 소통과 신학을 위한 공통적인 토대를 찾으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루돌프 불트만과 칼 바르트가 각각 제시한 전이해와 세계관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교회의 안과 밖이 이어지는 자리이자 소통을 위한 공통적인 토대를 고찰해 볼 수 있다. 불트만은 전이해를 바탕으로 계시를 바라보는 인간의 모습을 이해하고 있다. 성경에는 이 시각이 담기기에 비신화화의 방법으로 성경 안게 담긴 계시를 접할 수 있다. 한편 바르트는 인간이상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지니고 있으나 계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온전히 알 수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 두 생각은 칼 라너와 에밀 부르너의 생각의 비교해보면 그 접점과 상이점이 더욱 분명히 드러난다.
소통과 신학을 위한 접점은 우선 계시를 접한 신앙고백이 인간의 역사성으로 역사 안에 기록된다는 것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인간 개인에게 형성되어 있는 역사적인 관점이다. 각각의 관점에 상이한 측면도 있지만 시대와 장소의 차이 없이 모든 인간이 관심을 지니고 고민하는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이 두 부분이 소통을 위한 접점이 된다. 상이한 점과 접점은 소통과 신학을 위한 토대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제시되는 접점 외에도 다양한 접점의 발견은 상호 간에 납득할 수 있는 신학과 소통의 토대에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ose inside and outside the Catholic Church,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unique arguments of each other and to find common ground on which to dialog together. Finding common ground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is a vast and difficult thema. By asking whether we can know God through the things in nature, and by exploring what we do and do not share, we can attempt to find theological common grounds for communication.
Specifically, Rudolf Bultmann’s and Karl Barth’s ideas of Vorverständnis and Weltanschauung, respectively, provide the common groun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 Bultmann’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is based on Weltanschauung. He understands that the Bible contains this perspective and that we can access the revelation contained in the Bible in a demythologizing way. Barth, on the other hand, understands that humans form images and have the worldview based on them, but that revelation can only be fully known through Jesus Christ. The intersec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ideas become clearer when we compare the ideas of Karl Rahner and Emil Brunner.
As a point of contact for communication, we can first observe that the Confession of Faith is written in history as a human historicity.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people is also a point of contact for communication. Although each perspective has different aspects, there are common parts that all humans are interested in and concerned abou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se two parts are the points of contact for communication. Differences and points of contact are the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The discovery of these and other points of contact is necessary for mutually comprehensible theology and communication.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 신앙의 역사적인 성격
Ⅲ. 소통을 위한 토대
Ⅳ.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브뤼기에르 신부 서한 연구 - 페낭과 방콕에서 보낸 서한
- ‘사목적 축복’에 대한 소고
- 『서유기』에 나타나는 삼교(三敎)연구
-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불행한 의식” 개념과 계시종교 안에서 이 개념의 의미에 관하여
- 마르 1,3에서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φωνή)”의 신원에 관한 고찰
- 교회 안과 밖의 소통을 위한 신학의 공통적 토대에 대한 연구: 루돌프 불트만과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 마태 14,27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표현에 관한 구조적-성서주석학적 연구
- 한국가톨릭과 개신교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설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