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럭셔리 모바일 쇼핑몰 속성과 패션 제품의 쇼핑가치가 신뢰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uxury Mobile Shopping Attributes and the Shopping Value of Luxury Fashion Products on the Continuously Using Intention via Trust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강지연(Ji-Yeon Kang) 신종국(Jong-Kuk Shin)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7권 제4호, 93~12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스마트 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소비자의 모바일을 통한 구매가 증가하면서 주요한 유통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모바일 쇼핑 시장의 매출은 2012년도에 1조 8천억 원대에서 이후 매년 성장을 거듭하면서 2017년도에는 42조 5천억 원대를 돌파하였고 2019년에 이른 현재까지도 성장을지속하며 주요 유통으로써 자리를 잡고 있다. 이렇게 모바일 쇼핑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 중 의류/패션관련된 제품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기존에는 이미지 하락을 고려해 온라인 진출을 꺼려하던 몇몇 럭셔리 패션 브랜드들의 모바일을 통한 판매 비중을 늘리거나 온라인 전용 상품의비중을 늘리는 등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눈으로 직접 보고, 착장을 해볼 수 없는 모바일이라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럭셔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모바일을 통해 럭셔리 제품을 구매하는지 그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즉, 모바일 쇼핑 특성, 지각된 럭셔리 패션의 가치 속성이 모바일 쇼핑을 통해 럭셔리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뢰가 이러한 특성들과 지속사용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소비자의 특성이 독립변수들과 신뢰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통해 각각의 특성들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쇼핑에서 모바일 쇼핑 속성, 럭셔리 패션 제품의 쇼핑 가치, 소비자 특성, 신뢰, 지속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럭셔리 패션 기업들과 럭셔리 패션 제품의 유통이나 플랫폼과 관련된 기업들에게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에 맞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day, as the use of smart phones has become commonplace, consumers have increased their purchases through mobile devices, making them one of the major retailers. Sales in the mobile shopping market have since grown from 1.8 trillion won in 2012 to 42.5 trillion won in 2017 and have continued to grow until now in 2019 to become a major distribution. Such changes are thought to be noteworthy, with clothing/fashion-related products accounting for the largest portion of products sold through mobile shopping, among them, some luxury fashion brands, which had previously been reluctant to go online in consideration of their declining image, are thought to be worth noting changes such as increasing sales through mobile devices or increasing the portion of online-only products. First of all, Unlike ordinary fashion mobile shopping malls, this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luxury mobile shopping malls, what are consumers’perception of luxury fashion products, and how these attributes affect trust. This study would like to find out why consumers who purchase expensive luxury products continue to purchase luxury products through mobil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not able to see them directly and put o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uxury mobile shopping mall and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of luxury fashion produc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rust of the mobile shopping mall as a medium,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the shopping value of luxury fashion products on consumers’ intentions to continue to use luxury fashion products through mobile shopping.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each characteristic has an intention of continuing use, through whether trust acts as the mediation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its intended use. This Study has shown that providing various product composition can be an important shopping motivation, and only social-oriented values among the shopping value attributes of luxury fashion produ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self-oriented values a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impact of luxury mobile shopping mall attributes on sustainable use, it was found that luxury mobile shopping mall proper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Moreove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of luxury fashion products on sustainable use,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of luxury fashion produc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relevant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ovide compani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day’s digital ag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조사결과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연(Ji-Yeon Kang),신종국(Jong-Kuk Shin). (2020).럭셔리 모바일 쇼핑몰 속성과 패션 제품의 쇼핑가치가 신뢰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라시아연구, 17 (4), 93-120

MLA

강지연(Ji-Yeon Kang),신종국(Jong-Kuk Shin). "럭셔리 모바일 쇼핑몰 속성과 패션 제품의 쇼핑가치가 신뢰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라시아연구, 17.4(2020): 9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