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Insurance Purchasing by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surance Service in Korea: Focused on the Risk Groups in their 30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윤석(Yun Suk Lee) 서영수(Young Soo Seo)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7권 제4호, 121~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주로 표준체인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보험구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유병자와 표준체를 구분하여 두 집단간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런 차이점은 상품마케팅 차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30대유병자 군과 표준체 군을 구분하여 이들 집단 간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두 집단 간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전국 30-40세의 남녀 일반인 4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연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요인 적재 값은 0.40 이상, 요인수를 2로 했으며 신뢰성 분석에 필요한 Cronbach’s α 값은 0.7 이상으로 설정했다. 유병자 집단과 표준체 집단의 가설검증은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만족도를 독립변수로, 보험구매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병자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 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1.324, t=1.273으로 나타났고 P-value는 보험회사 신뢰도.189 보험서비스 만족도 .206으로 유의확률 값이 p>.05로 가설이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표준체 군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검정 결과,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각각 t=2.004, t=2.551, P-value는보험회사 신뢰도 .046, 보험서비스만족도 .011로 p < .05 나타났다. 그러므로 표준체의 경우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만족도는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t값은 모두 (+)이므로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보험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의 각 변수에 대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험회사신뢰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0으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고 t값은 2.758로 보험회사 신뢰도에 대한 지각이 유병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F값의 유의확률 .003으로 유병자 여부에 따른 집단의 분산이 같다고 가정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 그러므로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음’에서 확인결과 t값은 1.460, 유의확률 .146으로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지각은 유병자군과 표준체군에서 집단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회사 신뢰도의 평균값은 유병자군 2.92, 표준체군 2.68 수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유병자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회귀분석 결과까지 감안할 때 표준체 군에 비해 신뢰도는 높지만 보험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체 군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는 보험구매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병자 군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모두 보험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유병력자의 실손의료보험 인수조건이 제한적이고, 보험회사 역시 유병자보험의 판매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유병자들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유병자보험의 상품마케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정책당국이 유병자보험에 관한 홍보매체를 제작, 배포하고 이를 통해 가입할 경우 우대하되 역선택으로 판명시 가중 처벌하는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보험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유병자와 표준체 집단 간 차이는 없었지만 보험회사 신뢰도는 유병자 군에서 더 높은 평균값을 보여 유병자군이 표준체보다 보험회사 신뢰도를더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감안하여 기존 유병자보험의 활용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험가입당시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정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했을 때 그동안의건강상태를 종합해서 보험료 및 보장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이나 유병자보험에 가입한 후 건강상태가 호전될 경우 표준형 보험으로 변경해주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유병자 입장에서 건강관리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고 표준체에 근접해질수록 보험회사에 청구하는 보험금도 줄어들어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모두에게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젊은 층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특화된 전용상품을 적극 개발하여 이들의 선택폭을 넓혀 주되 역선택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기존 간편심사보험을 세분화하여 고지항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 유병자용 상품을 구매한 경우라도 일정기간 평가기간을 거쳐 표준체에 해당된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일반심사보험으로 전환하여 보장을 두텁게하고 보험료를 표준체 수준으로 낮추는 방식의 언더라이팅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병자들이 자신들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편향을 벗어나서 자신의 위험을 인지하도록 다양한안내와 지속적인 매스미디어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Until now,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how insurance purchases affect only healthy people, the standard. However, with the prevalence rate increasing, it is believed t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o verify whether the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istinguishing the patients from the standard, and this difference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oduct market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tri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30s patients and the standard group, to find out how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these groups affect insurance purchas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that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418 men and women aged 30 to 40 nationwide in April 2019. This study used the SPSS 18.0 program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ponse data. The factor loading values were 0.40 or higher, the factor number 2 was set as well as the Crombach’s α value required for reliability analysis was set at 0.7 or higher.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groups of patients with diseases and the groups of standard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insurance compan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patients group showed that th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ere t=1.324 and t=1.273, respectively, while P-value had a significant probability value of .189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206. All hypotheses were rejected as p > .05. Therefore,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seen as not affecting insurance purchas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sts for the standard group,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were t=2.004, t=2.551, and P-value showed p < .05 as 0.046, 0.011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case of a standard, the reliability of the insurance compan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service can be regarded as having an effect on the insurance purchase. In addition, because t values are all (+), the insurer’s reliability and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can be viewed a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insurance purchases under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each variable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body group showed that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not assumed to be equal variances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0 of the value F, and the t value was 2.758, whic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insurer’s reliability was the patient or not. The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is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F value .003,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group is the same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ill or not. Therefore, in ‘No equal variance assumed’ the t value was 1.460,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146,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 of insurance service satisfaction was not different from group to group in the patient group and the standard group. The average value of insurance company reliability is 2.92 for the patients group and 2.68 for the standard body group, indicating that patients confidence in the insurance company is higher.
목차
Ⅰ. 서 론
Ⅱ. 유병자보험과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 of Service Orientation of Vietnamese Beauty Worke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각 국가(대륙)별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 미국, 중국, ASEAN, 일본, EU를 대상으로
- 상가임대차 시장에서 유권리 점포의 결정요인: 베이커리 전문점의 권리금 지급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의 보험회사 신뢰도와 보험서비스 만족도가 보험구매에 미치는 실증연구: 30대 위험군을 중심으로
- GTI 발전방안 모색: 동북아 디벨로퍼 역할
- 제도적 메커니즘이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과에 미치는 연구
- 우리나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내부통제제도 비교연구
- 중국 20-30대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목표지향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 럭셔리 모바일 쇼핑몰 속성과 패션 제품의 쇼핑가치가 신뢰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on Chinese Corporate Cultur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