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chool Violence Case Handling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태린(Tae-Rynn Lee) 조현빈(Hyun-Bin Jo)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2호, 89~1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피해 학생의 보호, 가해 학생의 선도와 교육을 통해 학생을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심의회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학교폭력 사안이 접수되고 심의회의 조치가 결정되기까지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학교폭력 신고 접수 후 피해·가해 학생과 그 학부모들은 상대 학생에게 민감한 태도를 취하거나, 학교폭력심의위원회의 결정이 해당 학생·학부모에게 서면으로 통보된 후 조치에 불복할 경우 행정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폭력 사안 처리 과정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교폭력 심의에 참석하는 위원들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의 한계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진술을 중심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으로 분류한 뒤 분석 자료를 범주화하여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주화한 내용을 토대로 문제점을 도출했다.
첫째, 학교폭력 접수 및 초기 사실확인 단계의 문제점은 학교폭력 접수 후 피해 및 가해 관련 학생과 보호자에게 사안 처리절차에 대한 안내 사항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사실 확인을 하는 과정에서는 피해 및 가해 관련 학생의 분리 조치 후 피해 관련 학생에게는 심리상담이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가해 관련 학생에게는 분리 조치로 인한 낙인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사건 조사단계의 문제는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에 대한 사건조사가 지연되거나, 사건과 관련된 증인의 진술서 첨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측 학생의 진술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자료 수집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담기구심의 및 학교장의 자체 해결 단계의 문제점은 학교장이 종결할 수 있는 사소한 사안까지도 협의회에 회부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의위원회 조치 결정 단계의 문제점은 학교폭력 심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1, 2차 조사 시 수집한 진술과 증거가 부족할 경우 사안을 판단하고 조치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일부 지역 심의위원들의 의견만 수집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존재한다. 다만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의 문제점을도출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Review Committee is held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students into healthy members of society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 victims and the guidance and education of the perpetrators. Currently, there are many problems before the school violence case is received and the council's action is decided. For example, after receiving a case of school violence, an administrative lawsuit will be filed if the victim, the perpetrator, or the parents take a sensit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student, or if they do not agree to the action by notifying the students or parents of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Review Committee in writing.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rive problems that are currently occurring at each stage of the school violence case handling process and seek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mbers of the school violence council on their perception of problems occurring in the school violence case handling system.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as classified into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based on the statement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analysis data was categorized into the stages of the school violence case handling system. Finally, problems were derived based on the categorized conten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problem of receiving school violence and checking the facts was insufficient to guide the victims, perpetrators, and guardians o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case after receiving school violence. In addi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was not provided to the victim during the initial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perpetrator was branded as a separate measure from the victim. Second, the problem in the investigation stage of the school violence case was th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was delayed, and the attachment of witness statements related to the case was insufficien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objective data collection to support the statements of students on both sides. Third, even the smallest matter for the principal to draw conclusions was often referred to the council, and problems often occurred at the deliberation of a dedicated agency and the principal's own decision stage. Fourth, in the process of deliberating on school violence,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judge the case and decide on action when the statements and evidence collec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investigation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only collects opinions from some local deliberator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problems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the school violence case handling system.
목차
1. 서 론
2.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제도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