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2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Distance toward Immigrant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reat Awareness among Chung Nam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강영숙(Young-Sook Kang) 이미경(Mi-Kyoung Lee) 임유석(You-Seok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0권 제2호, 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에 유입되어 활동하는 이주민과 다문화 공동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구성원들도 전문인력에서 불법체류자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충남도민들이 이주민에 대해 인식하는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위협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자녀 유무, 연령, 혼인 상태, 학력에 따라 집단 간의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위협인식이 부분매개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 수용성에 사회적 거리감과 위협인식이라는 부정적 인식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갈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와 유관기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회통합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number of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communities moving into the country has continued to increase. Also, Multicultural members appear from professionals to illegal immigrants in a variety of ways. This study verified the impact of the social distance by Chung Nam residents toward immigrant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reat awaren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hildren,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reat awareness was significan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survey subjects' social dista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Ultimately,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of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social distance and threat awarenes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resolve conflict issues, continuous monitoring and social integration policies by local commun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must be implement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4. 연구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