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譚嗣同의 평등(仁) 우정론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an Sitong's Equal Friendship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신정근(Jeong Keun Shin)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第61輯, 163~19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譚嗣同은 청 제국의 구체제가 혼란에 빠졌지만 미래의 신체제가 아직 등장하지 않은 위기의 시대를 살았다. 그이는 먼저 구체제가 위기에 처한 원인을 규명하고서 미래의 신체제를 구상하고자 했다. 그이는 인륜이야말로 사람을 불평등의 억압에 몰아넣는 고통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에 그이는 군주와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처럼 한쪽이 지배하고 다른 한쪽이 복종하여 유지되는 관계의 그물을 해체하고자 했다. 대신에 譚嗣同은 평등에 바탕을 둔 붕우 관계에서 미래 사회의 사람 관계의 모델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사람은 사람 관계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개인이 아니라 우정과 신앙에 바탕을 둔 새로운 관계의 공동체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평등 우정론은 동아시아 우정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an Sitong lived in a time of crisis when the old system was disintegrating, but a new system had not yet emerged. He first sought to understand the causes of the old system’s collapses and then aimed to establish a new system. He identified human relationships as a source of pain driving people into the oppression of inequality. He thus sought to eliminate the net of relationships in which one side dominated and the other obeyed, such as those between monarchs and subjects, parents and children, and husbands and wives. Instead, Tan Sitong envisioned a future society modeled on friendships based on equality. In this vision, a person belongs to a community rooted in friendship and mutual trust, rather than existing as an individual completely free from human relationships. This theory of equal friendship can be regarded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thought on friendships.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인륜(삼강오륜): 위기의 해결 對 재앙의 원인
Ⅲ. 人倫을 넘어: 衝決網羅와 人理
Ⅳ. 平等之交로 맺는 우정공동체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