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순자의 인심도심론
이용수 90
- 영문명
- Xunzi’s Argument on Renxin and Daoxin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장원태(Wontae Chang)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第61輯, 73~10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서』에 관한 연구사를 살펴보면, 『상서』 「대우모」에 나온 십육자심법은 魏晉 시기 누군가가 『순자』 「해폐」에 나온 문장에 『논어』의 문장을 더해 날조한 문장일 가능성이 작지 않다. 이 때문에 순자의 인심도심론은 『尙書』 「大禹謨」에서 근거한 주희의 인심도심론의 연원으로 오해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큰 차이를 보인다. 주희에게 인심과 도심, 危와 微 각각은 한 사람의 내면에 공존하는 마음과 마음의 상태를 의미하지만, 순자에게 이 용어들은 수양의 단계를 지칭하는 용어이므로 공존할 수 없다. 순자는 수양을 통해 원래 갖고 있던 인심이 도를 따르는 마음인 도심으로, 인심이 가진 위험을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위의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도를 따르는 미의 상태로 발전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순자는 이런 발전을 위한 수양 방법으로 ‘一’을 제시하면서, 마음 씀씀이를 ‘一’하게 하여 도에 ‘精’한 상태로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수양 방법은 인심과 도심의 구분을 정밀하게 살피는 일인 ‘精’이 먼저고 본심을 지킨다는 의미의 ‘一’이 다음인 주희의 수양 방법과 정반대이다. 순자는 성악설을 전제하면서도 인심과 도심, 위와 미의 구분과 ‘一’의 수양론을 통해 이상적인 사람됨 또는 덕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순자 고유의 이론을 전개했다.
영문 초록
When examining the scholarly history of Shangshu (The Book of Documents), there is a considerable possibility that the Sixteen Characters mentioned in the “Dayu mo” chapter of Shangshu was fabricated by someone during the Wei-Jin period by combining sentences from Xunzi with sentences from Lunyu. Because of this, Xunzi’s theory of renxin 人心 (human nuture) and daoxin 道心 (moral nature) can be misunderstood as the origin of Zhu Xi’s theory based on the “Dayu mo.” However, there are actu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To Zhu Xi, the terms renxin and daoxin, as well as wei 危 (danger) and wei 微 (subtlety) represent the mind and the state of mind coexisting within one person, but to Xunzi, these terms cannot coexist as they refer to stages of cultivation. Xunzi believed that through cultivation, the inborn renxin transforms into daoxin that follows the Dao, progressing from the state of fearing the dangers of renxin (wei 危) to the state of naturally following the Dao (wei 微). Xunzi proposed ‘yi 一 (one)’ as a cultivation method for this progression, suggesting that by making the mind focused, it advances to a subtle state (jing 精). This cultivation method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Zhu Xi’s. While arguing that human nature is evil, Xunzi developed his own theory on the formation of an ideal peroson or virtue by mak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human nature and moral mind and rendering the cultivation theory of ‘yi’, which is quite the opposite of Zhu Xi’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한결같음[壹/一]의 수양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