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Z세대 조리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지각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및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7

영문명
The effects of generation MZ chefs’ perception of person-environment fit in a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work engagement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식공간학회
저자명
전상경(Sangkyung Jeon)
간행물 정보
『식공간융합연구』19권 4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호텔의 MZ세대 조리사들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및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환대산업에서 유능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표본추출법(할당표본추출법, 눈덩이표본추출법, 판단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전국에서 호텔 조리사를 대상으로 총 251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개인-환경 적합성은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개인-환경 적합성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친사회적 조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개인-환경 적합성과 친사회적 조직행동을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 개인-환경 적합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는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열의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4) 직무만족이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는 개인-환경 적합성과 친사회적 조직행동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개인-환경 적합성 이론을 확장하였으며, 호텔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실무적 제안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erson-environment fit (P-E fit) on job satisfaction (JS), work engagement (WE),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POB) among Generation MZ chefs in Korean hotels. Through analysi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proposing strategies to attract and retain talented individuals in specific roles. Using a complex sampling method (quota sampling, snowball sampling, and judgment sampling),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51 survey responses from hotel chefs nationwid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a positive and direct impact of P-E fit on POB is not significant. While P-E fit positively influences JS, it does not positively affect POB, therefore does not mediate between P-E fit and POB. However, P-E fit positively influences WE, which in turn positively impacts POB, demonstr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WE mediating effect. JS positively influences WE, indicating that JS and WE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 fit and POB.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expanded the theory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hotel human resource manage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경(Sangkyung Jeon). (2024).MZ세대 조리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지각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및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융합연구, 19 (4), 1-22

MLA

전상경(Sangkyung Jeon). "MZ세대 조리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지각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및 친사회적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융합연구, 19.4(2024):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