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창지역의 배추, 절임배추, 김치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이용수 64
- 영문명
- Nutri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bbage, pickled cabbage, and Kimchi in the Pyeongchang region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정민서(Min Seo Jung) 이승림(Seung Lim Lee)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9권 4호, 39~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배추, 절임배추와 김치에 대한 영양적 가치, 항산화에 대한 것으로 평창지역 배추를 사용하여 절임배추와 김치를 제조하고, 이들의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열량, 탄수화물, 조단백질, 그리고 지방 함량은 배추에 비해 절임배추에서 감소하였으며, 김치에서는 조단백질 함량이 16.3 g/100 g으로 배추의 조단백 함량 2.7 g/100 g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배추 839.6mg, 절임배추 534.6 mg, 김치 5,524.0 mg로, 배추에 비해 절임배추에서 감소하고 김치에서 증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분석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이 배추의 6.09±0.30 mg/g에서 김치에서 28.80±0.94 mg/g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배추의 1.63±0.33 mg/g, 절임배추의 1.37±0.35 mg/g에 비해 김치에서 7.81±0.77 mg/g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 농도에서 배추와 김치가 각각 절임배추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p<0.05), 특히 10 mg/mL 농도에서 김치의 활성이 75.33±0.33%로 가장 높았다. 환원력도 모든 시료 농도에서 배추와 김치가 절임배추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결론적으로, 김치는 배추와 절임배추에 비해 총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이 모두 높아 항산화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김치의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양념과 부재료가 추가되면서 배추와 절임배추에 비해 항산화 성분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erson-environment fit (P-E fit) on job satisfaction (JS), work engagement (WE),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POB) among Generation MZ chefs in Korean hotels. Through analysi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proposing strategies to attract and retain talented individuals in specific roles. Using a complex sampling method (quota sampling, snowball sampling, and judgment sampling),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51 survey responses from hotel chefs nationwid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a positive and direct impact of P-E fit on POB is not significant. While P-E fit positively influences JS, it does not positively affect POB, therefore does not mediate between P-E fit and POB. However, P-E fit positively influences WE, which in turn positively impacts POB, demonstr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WE mediating effect. JS positively influences WE, indicating that JS and WE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 fit and POB.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expanded the theory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hotel human resource management.
목차
I. 서론
II. 실험재료 및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