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90

영문명
Effects of college life and career planning courses on college students’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이태현(Tae-Hyun Lee) 유지현(Ji-Hyun Yu)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153~1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교육부의 정부재정지원사업이나 대학평가의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취업률보다 맞춤형 진로교육 및 상담, 진로 및 취업 지원체계 구축 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설계에 필수적인 요소 또는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 소재 S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저학년 대상의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향상되는지 검증하였다. 교과목 수강생 중 119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모두 사후평균이 사전평균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개의 주요변인의 하위요인도 대부분 사후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자기조절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진로사고의 사후평균이 사전평균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진로 및 취업 교과목 운영 시 수업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준강의안 적용, 교과목 환류체계 등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Looking 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cent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or basic plan for university evaluation, it emphasizes customized career education and consult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system, rather than employment rates. Accordingly, universities are operating career courses for lower grades, taking into account the essential elements for career plan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checked whether the level of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improv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University Life and Career Planning’ course for lower grades operated by S University located in Asan, Chungcheongnam-do. A pre and post survey was conducted on 119 students taking the cour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t-averag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pre-average for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Most of the subfactors of the three major variables also showed higher postmeans, but the post average of positive career thinking, a subfactor of career self-regulation,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preaverage. By combining the analysis results, practical measures such as application of standard lecture plans and subject feedback system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ubjects when operating career and employment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현(Tae-Hyun Lee),유지현(Ji-Hyun Yu). (2024).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3 (2), 153-174

MLA

이태현(Tae-Hyun Lee),유지현(Ji-Hyun Yu).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3.2(2024): 15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