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 변수 분석

이용수  52

영문명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and analysis of predictor variables for key competencies among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철(Jin-Cheol Kim) 김윤정(Yun-Jung Kim)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중학생의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의 수와 분류에 미치는 예측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는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의 중학교 3학년 학생의 8,56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의 잠재집단은 3개로 분류하였다. 집단 1은 ‘낮은 역량’ 집단, 집단 2는 ‘중간인지·높은 사회자율역량’ 집단이며, 집단 3은 ‘중간역량’이다. 잠재집단의 구성비는 ‘중간 역량’이 가장 많았다. 둘째, 잠재집단의 분류에 대한 개인생활에서 독서활동,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교생활의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생중심수업, 학교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은 역량 역량’ < ‘중간 역량’ < ‘중간인지·높은 사회자율역량’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중학생들의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의 정련화가 필요함을 논의했고, 연구의 한계성과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redictor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 size and classification of key competencies among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s analyzed data from 8,568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collected through the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and appli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atent groups of key competenc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Group 1 was labeled as 'Low Competency', Group 2 as 'Moderate to High Social Autonomy Competency', and Group 3 as 'Moderate Competency'.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latent groups was highest for 'Moderate Competency'. Secondly, at the individual level, higher levels of reading activiti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level relationships such as friendship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Low Competency' < 'Moderate Competency' < 'Moderate to High Social Autonomy Competency' group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necessity of refining the curriculum to cultivate essential competenci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철(Jin-Cheol Kim),김윤정(Yun-Jung Kim). (2024).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 변수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23 (2), 5-27

MLA

김진철(Jin-Cheol Kim),김윤정(Yun-Jung Kim).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 변수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23.2(2024):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