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교재교구 개발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의미 탐색
이용수 118
- 영문명
- Exploring the effect and meaning of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extbook teaching aids applying design thinking process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연(Suyeon Lee)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175~19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재교구 개발 및 제작과정에 디자인씽킹 을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혼합적 연구방법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에 참여한 B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디자인씽킹을 소개하고 교재교구 제작과정에 이를 적용 하였다. 디자인씽킹 과정은 스탠포드 디자인스쿨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활동 사전·후에 창의적 문제해결 검사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참여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성적 저널 자료를 수집하고, 인터뷰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교재교구개발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적 자료분석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행된 반성적 저널 자료와 사후 인터뷰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프로토타입 제작과정에서 ‘사고 확장하기’, 공감 단계를 통한 ‘유아 중심교육 실천하기’, ‘디자인씽킹을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를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적, 질적 자료 분석을 근거로 몇 가지 연구의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mixed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impact of applying design thinking to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ools on creative problem-solving, targe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Eighteen third-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B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a course on the research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preschool curricular materials, were introduced to design thinking, which was then applied to their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followed the five stages from the Stanford d.school, and a creative problem-solving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dditionally, reflective journa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ting students, and furt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design thin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ve journal data and post-interview results supported this quantitative data, indicating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expanding thinking', 'practicing child-centered education' through the empathy stage, and 'applying design thinking to all areas of life' during the prototyping process. Finally, the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목차
Ⅰ. 서론
Ⅱ.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 변수 분석
- 중학생의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영재유아와 비영재유아의 창의성 및 자아개념 차이
- 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차이
-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교재교구 개발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의미 탐색
- G교육청의 정보과학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