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이용수 61
-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Multi-Group Analysis between Gender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한미라(Mi-Ra Han) 김광수(Gwang-Su Ki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29~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창의성과 진로성숙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두 변인의 상호인과관계는 어떠한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KELS 2013)의 3~5차 조사(중1~3) 패널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남학생 3,006명과 여학생 3,143명으로 총 6,149명이었다. 연구모형의 검증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과 진로성숙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자기회귀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사이에 서로 유의한 정적 교차지연효과를 나타내어 상호 인과적 예측력이 있음을 보였다. 셋째,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의 모든 자기회귀효과에서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의 교차지연효과 일부에서 남녀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중학생의 창의성과 진로성숙도를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에 대해 그리고 남녀 특성을 반영한 진로지도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longitudinally analyze how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change over time and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depending on gender. For this purpose, panel data from the 3rd to 5th surveys (1st to 3rd grade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KELS 2013) were us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149 students, including 3,006 male students and 3,143 female student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appli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showed stable autoregressive effects over tim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ross-lagged effect between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showing that they have mutual causal predictive power. Third, the female group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than the male group in all autoregressive effects of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om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Lastly, we discussed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an enhance the creativity an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irection of career guidanc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활과 진로설계 교과목이 대학생의 진로자기조절,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예측 변수 분석
- 중학생의 창의성과 진로성숙도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영재유아와 비영재유아의 창의성 및 자아개념 차이
- 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차이
- 디자인씽킹 과정을 적용한 교재교구 개발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의미 탐색
- G교육청의 정보과학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관리자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