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족의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산출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n Analysis of Education Welfare Polices for the Educationally Alienation Clas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고수현(Soo-Hyun K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6 No.3, 63~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사회계층간의 사회․경제적 차원에서의 불평등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교육복지소외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소외계층 중에서도 다문화가족을 위한 교육복지정책 및 프로그램을 산출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첫째, 교육복지정책의 할당체계분석에서는 국제결혼이민자 가정과 외국인근로자 가정의 자녀와 당사자들이「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하여 제도적 서비스를 받고 있으나 학업중도탈락율이 높은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둘째, 급여체계분석에서는 현물급여 이외에도 기회․역량강화 등의 다양한 급여 형태가 채택되고 있으나 바우처,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에서 유사한 형태가 혼재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달체계분석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에게 교육복지서비스가 전달되고 있으나 민간부문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나 시민단체 등의 전달체계와 혼합된 유형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재원체계분석에서는 복권기금조성사업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이 일반조세를 통해 충당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세를 부담하는 계층의 조세저항 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영문 초록
As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ies have deepened in Korea, multi-cultural families are now at high risk becoming the underprivileged in terms of education welfare. From this viewpoint, this study uses the framework of product analysis focusing on the education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for those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mong the underprivileged in terms of education welfare. First, the analysis of the social allocation system set up through education welfare policies found that the dropout rate of not onl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for those of foreign workers and those who came to Korea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rrangements is much higher, even after legislation providing services to support them, as promulgated through such acts as the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Second, an analysis of the social provision system revealed that while various benefits are provided to them to promote their capacity and give them more education welfare opportunities besides payment in kind, most of these services overlap other programs, such as the voucher program. Third, an analysis of the delivery system indicated that multi-cultural families are given various servic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Science Technolog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by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 delivery system of these services is complicatedly intermingled with that of the private sector. Last, an analysis of the financing system behind the programs and services showed that there are risks of tax resistance because these programs and services are largely financed through tax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가족 교육복지정책의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Rol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Years of Residence
- 다문화가족상담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족의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산출분석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 아버지 역할의 변화
- 결혼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고찰
-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이혼 시 자녀의 친권과 양육권 선택에 대한 인식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구안
- 이혼가정아동의 외현적 공격성과 내면문제 발달궤적과 초기 보호요인과의 관계: 결혼가정과의 비교
-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지능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