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鹿門 洪慶臣의 詩世界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Nok-Mun Hong, Gyeong-sin’s poetry literature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김영주(Young-ju Kim)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99호, 133~16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녹문 홍경신의 생애와 교유관계 그리고 시세계의 특징에 대한 고찰이다. 16~17세기 조선의 시단에서 홍경신은 당대의 저명한 문인들과 枕流臺詩社를 중심으로 활발히 교유하였다. 홍경신은 ‘慕古爲學’의 창작 정신을 기반으로 ‘尙友’와 ‘獨得’을 창작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제시하며 이것을 ‘妙法’이자 ‘玄旨’라고 평하였다. 창작 논리에서 확인되는 홍경신의 好古的 경향은 그의 시작에도 반영되어 송시풍과 당시풍이 혼효된 상황에서 점차 당시풍의 우세로 변모되어 가는 당대 시단의 구체적인 모습을 반영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 예가 서곤체와 의산체 시의 창작이며, 이백의 작풍을 주로 추숭하는 경향을 나타낸 ‘청련체’ 시의 창작과 현실을 벗어난 선계에 대한 동경이 감지되는 탈속적인 시세계이다. 그 외에 그의 창작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한 영사시의 창작이나, 작시 능력을 보여주는 잡체시의 창작, 초사풍의 장편시, 다수의 악부체 시가 창작 등을 거론할 수 있다. 홍경신의 시세계는 16세기 시단의 중심을 이룬 강서시풍의 퇴조와 함께 등장한 당시풍의 유행 그리고 명나라 의고파의 영향으로 인한 의고적 특징을 아울러 나타낸다는 점에서 16~17세기에 이르는 조선 시단의 변화를 작품으로 체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시사에서 그 위상과 의미가 중요하다고 평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Joseon, Hong Gyeong-shin actively engaged with prominent writers of the time and members of the Chimryudae group(枕流臺詩社). Based on the creative spirit of “MoGo-Wihak(慕古爲學),” Hong Kyung-shin presented “Sang-woo(尙友)” and “Dok-dek(獨得)” as concrete methods of creation, calling them “Myo-beob(妙法)” and “Hyeon-ji(玄旨).” Hong Kyung-shin's tendency to admire the old creative tendencies confirmed in his creative logic was also reflected in his work, reflecting the specific aspects of contemporary literature that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dominance of Dangsi-style(唐詩風) in a mixture of Songsi-style(宋詩風) and Dangsi-style. An example is the creation of Soegon-style(西崑體) and Yuisan-style(義山體) poems, a poetry creation style that shows a tendency to mainly follow Libaek's creative tendency, and a poem in which admiration for the world of Taoism beyond reality is detected.
In addition, his creative ability can be confirmed by creating projections based on historical figures, creating prototypes of various styles that show his creative ability, Chosa-style long poems, and a number of musical poems.
Hong, Gyeong-sin’s poems exemplify the trend of Dangsi-style, which emerged with the decline of the Gang-Seo poetry style, which was th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His poetry also show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 of the Dangsi-style of the Ming Dynasty. In this respect, his poetry can be evaluated as important in that it is a concrete example of realizing the changes in the Joseon poetry stag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목차
1. 머리말
2. 홍경신의 생애와 교유 관계
3. 詩世界의 특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