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덕 지역 은진 송씨 가문의 문학적 성과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Eunjinsong family in the Hoedeok region: Focusing on Saudang Song Guk-taek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저자명
- 정경훈(Kyung-hoon Jung)
- 간행물 정보
- 『동방한문학』제99호, 79~1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회덕 송씨 중 同春堂 宋浚吉(1606~1672)과 尤庵 宋時烈(1607~1689)은 17세기 조선 정치사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회덕 송씨의 최전성기를 이끈 인물이고 회덕을 가문 중심지로 획정시킨 인물들로 평가받고 있다. 이들은 兩宋으로 불리며 조선 정치사, 문화사에서 자주 언급되었지만 여타 회덕 송씨들에 대한 연구는 소략한 실정이다. 송준길, 송시열 이전 이 지역의 문벌로 이름을 남긴 인물로는 雙淸堂 宋愉(1389~1446), 松潭 宋柟壽(1537~1626), 淸坐窩 宋爾昌(1561~1627), 四友堂 宋國澤(1597~1659) 등이 있다.
송국택은 두 번의 호란 경험에서 나오는 감상들을 묵묵히 시와 부 등 운문을 통해 표출하고 있다. 그리고 예송논쟁으로 인해 화를 입은 김상헌과 송준길, 송시열 등 당대 정치적 궤도를 같이 했던 인물들과 왕복 편지를 통해 우국과 충의의 모범적인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송국택의 시를 乙覽한 숙종은 충의의 모범이 될 만하다고 평가하였고 도학의 강설과 우국의 심정을 토로한 내용이 많았음을 지적하였다.
현전하는 『사우당집』은 불완전한 문집이다. 그의 초고가 家禍로 소실되어 완전한 문집 간행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이미 당대부터 시적 재능에 대한 평가가 있었고 송남수, 송희갑, 송몽인과 함께 회덕을 대표하는 시인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이를 통해 회덕 지역 은진 송씨들의 문학적 성과를 가름할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mong the Hoedeoksong clan, Dongchundang Song Jun-gil(1606~1672) and Uam Song Si-yeol(1607~1689) played a major role in the political history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These are the people who led the Hoedeok Song clan to its peak and are evaluated as the people who defined Hoedeok as the center of the family. They are called 'Dual Songs' and are often mentioned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Joseon, but research on other Hoedeoksong clans is limited. Before Song Jun-gil and Song Si-yeol, people who left their names in this region include Ssangcheongdang Song Yu (1389~1446), Songdam Song Nam-su (1537~1626), Cheongjwa Song I-chang (1561~1627), and Saudang Song Guk-taek (1597~1659).
Song Guk-taek silently expresses his feelings from his experience of the two wars through poetry and verse. In addition, he showed exemplary patriotism and loyalty to his country through back-and-forth letters with figures who were in the same political orbit at the time as Kim Sang-heon, Song Jun-gil, and Song Si-yeol, who were affected by the Yesong Dispute. King Sukjong himself evaluated Song Guk-taek's poetry as worthy of being an example of loyalty, and pointed out that it contained many contents that expressed moralistic teachings and the feelings of patriotism. The extant is an incomplete collection of works. This is because his manuscript was destroyed in a fire, making it impossible to publish a complete collection of works. However, he had already been evaluated for his literary talent. And he has been widely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ets of Hoedeok, along with Song Nam-su, Song Hee-gap, and Song Mong-in.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judge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Eunjinsong clan in the Hoedeok region.
목차
1. 서론
2. 송국택의 생애와 『사우당집』
3. 사우당과 日常의 모습
4. 愛君과 傷時의 형상화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