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리스 블랑쇼의 초기 작품 『마지막 말, Le Dernier Mot』에 나타난 내재적 재앙으로서의 묵시록
이용수 14
- 영문명
- L’Apocalypse comme désastre immanent dans le premier ouvrage de Maurice Blanchot 『Le dernier mot』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박규현(Kyou-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1집,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블랑쇼의 최초 작품으로는 『토마 알 수 없는 자』가 언급되지만, 실제 그는 그 이전에 두 개의 단편을 썼으며, 그중 하나가 『마지막 말』이다. ‘풀 수 없는 수수께끼’라고 얘기되는 이 단편의 중요성은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내용상 블랑쇼 사유의 핵심 중 하나인 내재적 재앙으로서의 묵시록을 담고 있으며 형식상 그만의 고유한 글쓰기 형식인 레씨(récit)로 창작되었다.
본 연구는 우선 블랑쇼가 1930년대에 『토마 알 수 없는 자』 집필 도중 썼던 단편 『마지막 말』이 그의 초기 사유의 전개 과정에서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알고자 하였다. 그런 다음, 블랑쇼가 작품 안에 내재적 재앙으로서의 묵시록 관련한 성서적 비유로 구약의 ‘바벨탑’과 ‘스바니야서’를 끌어들였음에 주목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작품 말미의 중요한 언급 ‘그저 있음(il y a)’이 ‘마지막 말’ 그 자체로서 어떻게 블랑쇼의 묵시록 사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Bien que Thomas l’Obscur soit généralement mentionné comme le premier roman de Blanchot, il a en fait écrit deux nouvelles avant cela, dont l’une est Le Dernier Mot. L’importance de cette nouvelle, considérée comme une énigme insoluble, se retrouve dans le fond et dans la forme de la littérature blanchotienne : dans le contenu, elle contient l’Apocalypse comme un désastre inhérent, l’un des noyaux de la pensée de Blanchot, et dans forme, c’est sa propre forme d’écriture unique.
Cette étude examine d’abord la relation entre l’écriture de Blanchot et Le Dernier Mot dans les années 1930, et l’importance de cette œuvre dans le développement de ses premières pensées jusqu’à la publication de son premier roman. Ensuite, nous avons tenté d’en interpréter le sens en remarquant le fait que Blanchot dessinait la « Tour de Babel » et le « Livre de Sophonie » comme des métaphores bibliques liées à l’Apocalypse comme un désastre inhérent à cette œuvre. Et enfin, nous avons examiné le sens de la manière dont la pensée de l’«il y a», mention importante à la fin de l’ouvrage, peut devenir le point de contact ultime qui est le dernier mot mêm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1930년대 블랑쇼의 글쓰기와 『마지막 말』
3. 『마지막 말』의 성서적 비유에 담긴 블랑쇼의 묵시록적 사유
4. 나오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리스 블랑쇼의 초기 작품 『마지막 말, Le Dernier Mot』에 나타난 내재적 재앙으로서의 묵시록
- 알베르 카뮈에게 있어 ‘영화란 무엇인가?’
- 표면과 이면, 그 사이의 글쓰기와 아이러니
- 『황금 물고기』의 라일라를 통해 살펴본 공간과 장소 연구
- 레일라 슬리마니의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페미니즘의 약진
- 의미작용의 관점을 통한 장 보드리야르의 「배려 지상주의」 연구
- 모로코 언어 교육 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현황
- 미셸 투르니에의 『황금 물방울』에 나타난 시뮐라크르 문화
- 의견불일치 화행의 공손성
- 르 코르뷔지에의 피르미니 성당 계획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 Affichage bilingue et politique linguistique en Bretagne: une approche sociolinguistique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