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레일라 슬리마니의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페미니즘의 약진

이용수  41

영문명
Les avancées du féminisme du 21e siècle vues à travers les œuvres de Leïla Slimani: La révolte des démunies isolées
발행기관
한국프랑스문화학회
저자명
조지숙(Ji-Sook CHO)
간행물 정보
『프랑스문화연구』제61집, 215~24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2016년 공쿠르상을 수상한 모로코 출신 프랑스 여성작가 레일라 슬리마니Leïla Slimani의 소설, 2014년 『식인귀의 정원에서, Dans le jardin de l’ogre』, 2016년 『달콤한 노래, Chanson douce』, 2020년 『타인들의 나라, Le pays des autres』를 통해 여전히 사회적 약자인 여성의 삶의 조건을 간접적으로 목도하고, 특히 작가 슬리마니가 제시하는 여성적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직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935년 마거릿 미드, 1970년대 로잘도를 비롯한 여성 연구자들이 내놓은 페미니즘 이론의 궤적을 더듬어 본 후, 슬리마니가 작품에서 제시한 여성적 삶의 새로운 방향성과 패러다임을 직시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레일라 슬리마니는 실천적이고 사회 참여적인 작가다. 그가 쓰고자 하는 것은 여성들, 즉 사회적 약자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그가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여성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모든 사람이 사적 삶에서 자유와 편안함을 느껴야 하며 그것은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된 것이다. 결국, 불합리한 ‘사회적 불균형’이 가져온 ‘절박함을 품고 사는 능동적인 약자들의 반란’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다.

영문 초록

L’objectif de cette étude était d’explorer de manière indirecte les conditions de vie des femmes, toujours considérées comme socialement défavorisées, à travers les romans de Leïla Slimani, auteure française d’origine marocaine, lauréate du Prix Goncourt en 2016. Les romans examinés incluent “Dans le jardin de l’ogre” (2014), “Chanson douce” (2016), et “Le pays des autres” (2020). Après avoir examiné la trajectoire des théories féministes avancées par des chercheuses telles que Margaret Mead en 1935 et celles émergentes dans les années 1970 comme Rosaldo, cette étude met l’accent sur la nécessité de confronter les nouvelles orientations et paradigmes de la vie féminine proposés par Slimani dans ses œuvres. Leïla Slimani est une écrivaine pratique et engagée socialement. Bien qu’elle raconte des histoires sur les femmes, considérées comme des minorités sociales, ce qu’elle cherche ultimement à communiquer à travers ses œuvres n’est pas seulement un problème limité aux femmes, mais plutôt l’idée que “tout le monde devrait ressentir la liberté et le confort dans leur vie personnelle, et cela est lié à la dignité humaine”. En fin de compte, le cœur de cette étude réside dans la “révolte des minorités actives vivant avec urgence due aux ‘déséquilibres sociaux’ irrationnels” causés par des inégalités sociales injuste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과거와 현재의 여성의 상황
3. 슬리마니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여성의 삶
4. 나오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지숙(Ji-Sook CHO). (2024).레일라 슬리마니의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페미니즘의 약진. 프랑스문화연구, (), 215-245

MLA

조지숙(Ji-Sook CHO). "레일라 슬리마니의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페미니즘의 약진." 프랑스문화연구, (2024): 215-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