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베르 카뮈에게 있어 ‘영화란 무엇인가?’
이용수 36
- 영문명
- ‘Qu’est-ce que le cinéma?’ chez Albert Camus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김세리(SE RI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61집,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설가이자 극작가였으며 스스로 연극 무대에 서기도 했던 알베르 카뮈는 자신의 시대에 제 7의 예술로 부상한 영화 매체에 대해 진지하게 고찰한 적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뮈의 작품들 속에는 영화나 영화관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부조리 사상이 구체화되고 있던 시기의 작품인 『안과 겉』과 『이방인』에서 영화는 삶의 고통을 잠시나마 외면하기 위한 유희거리 혹은 죄책감의 근원에 불과하지만, 뒤이어 카뮈가 자신의 반항 정신을 구현하게 되는 『페스트』에서는 부조리한 상황에 직면한 타인들과의 연대와 소통의 매체로 변모한다. 뿐만 아니라 『최초의 인간』에서 영화관은 노동자 계층의 유일한 문화생활이자, 알제리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차별 없이 함께 모이는 유대의 공간으로, 다른 한 편 화자의 가족과 타인들 간의 소통 불능 공간으로서 묘사됨으로써 후일 그가 영화 매체와 거리를 두는 계기를 유추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우리는 그간 카뮈의 작품 속에서 영화가 차지하는 위치를 파악하는 한편, 그에서 있어 영화라는 매체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했다. 비록 카뮈의 예술론이 영화와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갖지는 못했을 지라도, 이후 카뮈가 영화에 미친 영향력은 결코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영문 초록
L’écrivain et dramaturge Albert Camus, qui était également acteur et avait lui-même foulé les planches, n’a jamais sérieusement réfléchi au cinéma, qui s’est élevé au rang du septième art de son époque. Pourtant, dans ses œuvres, le cinéma revient fréquemment. Dans ses œuvres de l’époque où la pensée de l’absurde se concrétisait, comme L’Envers et l’Endroit et L’Etranger, le cinéma n’était rien de plus qu’un divertissement pour échapper momentanément à la souffrance de la vie ou une source de culpabilité, mais dans La Peste, qui suit et concrétise son esprit de révolte, le cinéma se transforme en un moyen de solidarité et de communication avec les autres confrontés à des situations absurdes. De plus, dans Le Premier Homme, le cinéma est décrit comme la seule forme de divertissement pour la classe ouvrière, ainsi que comme un espace de solidarité où les algériens et les français se réunissent sans discrimination, tandis que d’un autre côté, il est dépeint comme un espace d’absence de communication entre sa famille et les autres. Cela suggère par la suite les raisons pour lesquelles il a pris ses distances avec le cinéma. À travers cela, nous avons cherché à comprendre la place du cinéma dans les œuvres de Camus et à examiner de manière approfondie la signification du médium cinématographique pour lui. Bien que la théorie artistique de Camus n’ait peut-être pas de lien direct avec le cinéma, l’influence qu’il a exercée sur le cinéma par la suite ne peut en aucun cas être ignorée.
목차
1. 서 론
2. 카뮈의 작품 속에 드러난 영화
3. 카뮈에게 있어 영화 매체의 의미
4.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리스 블랑쇼의 초기 작품 『마지막 말, Le Dernier Mot』에 나타난 내재적 재앙으로서의 묵시록
- 알베르 카뮈에게 있어 ‘영화란 무엇인가?’
- 표면과 이면, 그 사이의 글쓰기와 아이러니
- 『황금 물고기』의 라일라를 통해 살펴본 공간과 장소 연구
- 레일라 슬리마니의 작품을 통해 본 21세기 페미니즘의 약진
- 의미작용의 관점을 통한 장 보드리야르의 「배려 지상주의」 연구
- 모로코 언어 교육 정책의 역사적 변화와 현황
- 미셸 투르니에의 『황금 물방울』에 나타난 시뮐라크르 문화
- 의견불일치 화행의 공손성
- 르 코르뷔지에의 피르미니 성당 계획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 Affichage bilingue et politique linguistique en Bretagne: une approche sociolinguistique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