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린이~물질을 둘러싼 순간(mo[ve]ment) 바라보기
이용수 369
- 영문명
- Inquiry of the mo[ve]ment with children~material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rough entanglement with post-qualitative inquiry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강승지(Seung-Ji Kang)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4권 제3호, 85~11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존재론적 전환을 이끄는 패러다임으로서의 포스트휴머니즘과 물질에 대한 새로운 사유인 신물질론 그리고 행위를 바라보는 시선을 Deleuze의 감각론과 존재론에서 찾고 이를 중심으로 어린이~물질의 순간(mo[ve]ment)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윤리적 만남과 끊임없는 생성에 존중을 둔 후기 질적 탐구로서 ‘함께하기(참여관찰)’와 ‘교육적 기록작업’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Y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만 5세 반의 18명의 어린이와 함께 데이터 생성이 이루어졌다. 이후 데이터 배치에서는 연구자의 사진과 교육적 기록작업, 연구 참여자의 사진, 대화들이 함께 생성되고 얽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어린이~물질을 둘러싼 모든 순간(운동)은 재현으로 맺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물질의 만남에서 발현되는 경험이 어느 한 영역으로 분절되지 않으며, 그것은 어린이의 삶이자 감각의 힘으로 생성되고 있었다. 이는 지속적 감각-되기와 그 힘이 발현되는 운동을 예술적 순간이라 보는 Deleuze의 시선과 맞닿아 있었으며, 활기찬 물질이 서로의 신체에 변화를 주고 영향을 미치는 순간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어린이~물질의 만남에 경청하고 윤리적 실천과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생명력 있게 작동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osthumanism as a paradigm that leads the ontological transition, new materialism as a new thinking about material, and Deleuze's sensory theory and ontology, and to focus on the children~material mo[ve]ment centering on it. This study is a post-qualitative inquiry that respects ethical encounters and constant generation, and was conducted through “becoming together” and “pedagogical documentation”.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18 children aged 5 and a half from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Y-si, Gyeongsangnam-do. Afterwards, in the data arrangement, the researcher's photos, pedagogical documentation, and research participants' photos and conversations were created and intertw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l mo[ve]ment surrounding children and materials do not result in representation. The experience that emerges from the encounter with children~ material is not segmented into any one area, and is created through the child's life and the power of the senses. This was in line with Deleuze's view that the continuous becoming-of-sensation and the movement in which its power is expressed are artistic moments, and it was examined that these are moments when vibrant substances change and influence each other's bo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we will be able to listen to the encounter with children~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that ethical practices and discussions will continue to operate in a vital manner.
목차
Ⅰ. 연구로 들어가기
Ⅱ. 연구(자)와 방법론의 필연적인 얽힘
Ⅲ. 함께하기를 통한 데이터 생성하기
Ⅳ. 어린이~물질의 순간(운동) 바라보기
Ⅴ. 어린이~물질의 관계성에 함께 얽히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