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메시지 프레이밍이 제로웨이스트 화장품 소비자 반응과 지각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Effect of Environmental Message Framing on the Consumer Response and Perceived Risk of Zero-Waste Cosmetic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은희(Eun-Hee Park) 이인희(I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5권 제2호, 243~2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2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framing of environmental messages affects consumer responses and perceptions of risks associated with zero-waste cosmetics.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adult women aged 20 to 59 across the country, who had purchased zero-waste cosmetics between April 21 to 24, 2024. Out of 3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14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6 poorly answered one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through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consumer response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message framing, there was a tendency for them to be more favorable when exposed to positive framing. Second, concerning risks perceived through environmental message framing, they tended to be higher when presented in negative framing.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sumer responses on perceived risks, heightened intentions to seek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perceived risk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offer valuable insights to the government, consumers, and businesses, facilitating tailored message framing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Z세대의 헤어·메이크업관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 올인원크림에 함유된 수크랄페이트 성분의 안면피부 개선효과
- 템플 라인을 활용한 디스커넥션 커트 디자인 작품 제작
- 미용전공자들을 위한 퍼스널컬러 이미지메이킹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안 개발
- 미용실 고객관계관리(CRM)가 관계품질과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연 이미지를 활용한 헤어디자인 제안 연구
- 컴퓨터 설계와 3D 프린팅을 이용한 안와부의 맞춤형 보형물 제작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5권 제2호 목차
- 수안재활운동이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가정용 뷰티디바이스 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대학생의 모발관심 및 두피·모발관리행동
- 환경메시지 프레이밍이 제로웨이스트 화장품 소비자 반응과 지각된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 네일 관리 행동과 문제성 네일에 대한 인식 연구
- 뷰티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료미용 종사자의 WLB가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40-60대 여성의 코스메슈티컬 소비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산 곰취(Ligularia fischen)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 미용실 선호도에 따른 체험마케팅 효과 연구
- 포스트 팬데믹에서 백화점 화장품 소비자 구매행동 변화가 백화점 화장품 판매직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30종 에센셜오일Gardnerella vaginalis 및 Lactobacillus vaginalis에 미치는 항균효과 연구
- 뷰티 소비자가 지각하는 서비스품질과 전환비용, 지속이용의도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