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古代 住居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이용수  149

영문명
The Fengshui Idea(風水觀念) in the Housing Culture(住居文化) of Ancient China(中國古代): Focusing on the Pre-Qin Era(先秦時代)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이무영(Mu-young Lee)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86집, 151~1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中國 先秦時代 주거문화에 나타나는 風水觀念을 고전과 제자서를 참고하여 고찰해 보았다. 사람이 태어나면서 일정 공간에서 생활함에 누구나 공간에 적응하면서 살아간다. 최초의 생활공간은 자연동굴과 岩洞·巢居·穴居·蓬居 등으로 변천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특히 봉거의 경우는 현재의 텐트와 동일한 거주조건을 갖추고 있어 시사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인류가 누려야하는 기본적인 생활을 충족시켜주는 환경의 한 유형으로서 인류가 이미 과학을 이해하였고 응용기술의 진보를 이해함으로써 거주지의 수량과 질량를 제고시켜서 생존문제를 해결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아울러 그 지역의 특성에 맞게 생태환경이 제시되고 있는데, 毛物이 가리키는 것은 포유동물류이고, 鱗物을 가리키는 것은 어류, 羽物을 가리키는 것은 금류, 介物이 가리키는 것은 거북종류, 털이 없는 동물을 가리키는 것은 조개류이며, 皂物이 가리키는 식물은 상수리와 밤나무를 가리키고, 膏物은 오동나무나 옷나무, 覈物은 복숭아나 오얏나무, 莢物은 냉이와 같은 나물류, 叢物은 모시와 갈대 같은 식물이다. 이와 같이 지리적인 환경에 따라서 그곳에 살아가는 사람이나 서식하는 동·식물들의 삶의 무게가 고스란히 녹아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Fengshui idea(風水觀念) of the housing culture in the Chinese Pre-Qin era was examined by referring to classics and books of philosophers. As humans lead their lives in a particular space after birth, everyone adapts to spaces. The first living place changed from a natural cave to Amdong(岩洞, a rock valley), Sogeo(巢居, a tree house), Hyeolgeo(穴居, a cave), Bonggeo(蓬居, a house with a roof of mugwort stalks) and etc. Particularly in case of Bonggeo, it had the same dwelling condition as today's tents, which has great implications. It shows that human race had already understood science as a type of environment satisfying basic life they deserved to enjoy, and that, by understanding the progress of applied technology, they improve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ir residence and therefore solved the problem of their survival. In addi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Momul(毛物) refers to mammals, Rinmul(鱗物) fish, Wumul(羽物) poultry, Gaemul(介物) turtles, animals without fur shellfish, plants of Jomul(皂物) oaks or chestnut trees, Gomuk(膏物) royal foxglove trees or lacquer trees, Heulmul(覈物) peaches or plum trees, Hyeopmul(莢物) herbs like shepherd's purse, and Chongmul(叢物) plants like ramie and reeds. Like this, each geographical environment reflects the weight of life of the people or animals and plants living there as it is.

목차

Ⅰ. 緖論
Ⅱ. 중국 고대 주거문화의 변천
Ⅲ. 先秦時代陽宅風水觀念
Ⅳ. 삶과 죽음의 형성과 전개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무영(Mu-young Lee). (2024).中國古代 住居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중국인문과학 , (), 151-168

MLA

이무영(Mu-young Lee). "中國古代 住居文化에 나타나는 風水觀念." 중국인문과학 , (2024): 151-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