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물 화재안전에 관한 관련법상 연구
이용수 71
- 영문명
- Study on the Laws Related to Fire Safety in Buildings: Focus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Laws Related to Fire Safety in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한아름(Han, Ah Reum)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7권 제1호, 145~1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4년 1월 22일 충남 서천 특화시장 화재사건과 같이 대형화재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화재안전관리 주체인 중앙정부(행정안전부소방청) 및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소방서)는 새로운 조직과 기구 및 법령을 정비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하였으나 화재안전관리 부처간의 업무중복과 소방관련법령의 이중적 규정 및 현장지휘 체계의 미비와 국민의 재난안전에 대한 불감증 등으로 효과적인 화재안전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예고없는 각종 화재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헌법」,「소방기본법」,「소방관련법령」,「건축법 및 건축관련법령」등의 목적에도 부합한다. 본 논문은 건축물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관련법령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한 후 사견(私見)과 국민의 화재안전 의식강화 및 교육실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Every time a major fire incident occurs, such as the Seocheon Specialized Market fire incident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on January 22, 2024, the fire safety management authoritie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National Fire Agency) and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fire stations), have revised organizations, mechanisms, and laws and promised to prevent recurrence. However, they are unable to effectively manage fire safety due to overlapping duties between fire safety management departments, dual regulations in fire-related laws, deficiencies in on-site command systems, and the public's insensitivity to disaster safety. Protecting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citizens from various unexpected fires aligns with the objectives of the「Constitution」,「Basic Fire Fighting Act」,「Fire-related Laws」, and「Building- related Laws」.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laws related to fire safety management in buildings, followed by personal opin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public fire safety awareness and conduct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건축물 화재안전에 관한 근거
Ⅲ. 건축물 화재안전에 관한 국외법 내용
Ⅳ. 건축물 화재안전에 관한 문제점
Ⅴ. 건축물 화재안전에 관한 개선방향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