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프리카 사헬지역 테러양상 변화에 따른 재외국민 보호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75
- 영문명
- Study on Developments in the Protection of Expatriates from Terrorist Threats in Africa's Sahel Region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최도윤(Choi, Do-Yoon) 김태영(Kim, Ta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7권 제1호, 122~14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테러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아프리카 사헬지역의 양상에 따른 재외국민보호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정량적 측면에서 테러 발생건수와 사상자 규모는 감소되고 있으나, 아프리카의 사헬지역은 ‘국제테러단체의 핫스팟’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분석결과 이러한 아프리카 사헬지역의 테러양상 증대 원인은 중동-아프리카 국제테러단체 제휴 증대, 말리·부르키나파소·니제르 국경 지역 중심의 서아프리카 해안 국가로의 활동 범위 확장,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전략적 영향공작 테러수법 증대활용 등을 분석되었다. 지난 몇 년간 국제테러단체의 초점은 중동과 남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에서 비교적 공권력이 취약한 사헬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정치적 불안정, 민주주의의 쇠퇴, 국제테러단체의 활성화, 드론 등 신종 공격수단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테러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내 거주하고 있는 우리 기업 및 교민에 대한 재외국민보호 대응체계 발전방안으로는 재외국민보호 위기관리 매뉴얼 보완, 민간 보안경비 역량 활용, 주재국 공관 및 주요시설 대상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behind the change in terrorism in the Sahel region of Africa since COVID-19.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Global Terrorism Index and the number of deaths due to terrorism have decreased globally. However, the Sahel region in Africa has seen a sharp increase in terrorist attacks and deaths. Over the past few years, the focus of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has shifted from the Middle East, South Asia, and North Africa to the Sahel, which includes border areas that are relatively difficult for governments to control. The Sahel region has complex security challenges, which have been exacerbated by COVID-19 and are thought to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in terrorism. Political instability, the decline of democracy, the rise of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and new means of attack, such as drones, are some of the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of terrorism in the Sahel since COVID-19.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threats, the report suggests ways to develop an expatriate protection response system, such as supplementing the expatriate protection crisis management manual, utilizing private security guard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nti-drone systems for missions and key fac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코로나19 이후 사헬지역의 테러 양상과 발생요인
Ⅳ. 재외국민보호 대응체계 발전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