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기술의 위협과 경찰활동의 방향
이용수 115
- 영문명
- Threats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irection of Polic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송기복(Song, Gi-Bok)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7권 제1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기술은 경제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이면서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와 IoT(Internet of Things)의 접목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경제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은 실제공간과 융합되어 현실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은 양자기술(Quantum Technology), 인공지능(AI), 6세대 이동통신(6G) 등 신기술을 자국의 경제, 안보, 국방 분야 등에서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인식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신기술 자체가 국가 간 패권 다툼의 중심에 있다. 향후 신기술 활용이 가속화되어 사회 구조적으로나 경제활동 과정 중 상호의존관계가 심화되는 사이버 공간은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동시에 위협도 가시화되어 사이버 공간에서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경찰은 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경찰활동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신기술이 가져올 사회변화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위협에 대처하는 경찰활동을 개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경찰력 강화, 사이버 공간에서의 경찰활동 확대, 종합적인 신기술 정책 추진 등 경찰활동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한다.
영문 초록
New technologies are the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affect people's lifestyles and thinking. In particular, economic activities in cyberspace are expanding due to the combination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cyberspace is fused with real space to have various effects on real society. In addi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recognize and develop new technologies such as quantum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6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6G) as a means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n their economies, security, and defense fields, and the new technology itself is at the center of the struggle for supremacy between countries. In the future, cyberspace, where the use of new technologies accelerates and interdependence intensifies during social structural and economic activities, benefits humans and threats are visualized, and uncertainty in cyberspace will continu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e to pursue police activities to cope with new threats from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olice activities to cope with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new technologies and new threat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e activities such as strengthening police forces using new technologies, expanding police activities in cyberspace, and promoting comprehensive new technology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신기술의 위협과 경찰의 대처 현황
Ⅲ. 경찰활동의 방향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