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기업 사업의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munity Enterprise Projects
- 발행기관
- 한국지역경제학회
- 저자명
- 김진찬(Kim, Jin C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역경제연구』제19권 제3호, 31~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기간 지속된 경기침체에 인구절벽, 지방소멸, 그리고 최근 코로나19까지 더해지면서 지역경제는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지역경제 문제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존의 일자리 주무부처인 고용노동부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에서도 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에서 실시중인 일자리 관련 사업 중 대표적인 사업이 마을기업 육성사업이며, 사업시행의 기준 역할은 시행지침이 맡고 있다. 그러나 시행지침의 여러 가지 미비점으로 마을기업 사업의 표면적 성과와는 달리 실효성이 높지 않다는 것이 현장에서의 일반적인 평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과 「20201년 신규 등 마을기업 지정」신청기업들의 심사결과에서 마을기업의 요건과 운영주체, 교육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마을기업 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시행지침 내용 중 마을기업 지정요건, 마을기업 유형, 그리고 교육부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마을기업 사업 지역과 사업영역의 확대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local economy is facing serious difficulties as the prolonged economic stagnation, population cliff, local extinction, and the Covid-19, added recently. As the perception that the best way to solve local economic problems is that creating decent jobs is spreading, not onl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existing ministry responsible for job creation, but also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ave actively promoted job projects. Among the job-related projects being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representative project is the community enterprise fostering project, and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are responsible for the standard role of project implementation. However, the general evaluation in the field is that, unlike the superficial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enterprise project, the effectiveness is not high due to various deficiencies in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Therefore the requirements, operating entitie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community enterprises have been analyzed from the guidelines for the community enterprise development project and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enterprises applying for the 「2021 new village enterprise designation」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mong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the community enterprise designation requirements, the community enterprise type,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education part we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mmunity enterprise project. At the same time,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projects area and business area of Community enterprise project wa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마을기업 사업배경과 시행지침
Ⅲ. 마을기업 현황과 심사결과 분석
Ⅳ. 시행지침의 개선방안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말(馬)산업 이해관계자의 산업단지 입주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네트워크 외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중·일의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와 정년연장 비교
- Comparative Study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Uls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