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울·경 지역의 산업생산연계성 분석

이용수  8

영문명
The Industrial Production Linkage among Busan, Ulsan, and Gyeongnam: Focusing on Busan Major Industries
발행기관
한국지역경제학회
저자명
김완중(Kim, Wan-Joong)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경제연구』제19권 제3호,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2020년 7월 발표한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산업생산이 미치는 파급효과와 피드백효과를 분석하고, 2005년 기준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생산파급효과 측면에서 볼 때 이들 지역은 상호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생산에 있어 부산의 인접지역(울산, 경남)에 대한 의존도는 울산과 경남의 부산에 대한 의존도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2005년과 2015년을 비교할 때 전체적으로 세 지역간 연관관계가 약화되었는데, 특히 울산의 부산 및 경남과의 생산측면에서의 협력관계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지역의 인접지역을 통한 피드백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지역의 지속적인 상생발전을 위해서는 상호피드백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산업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지역간 협력은 상호파급효과와 피드백효과가 큰 제조업을 중심으로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의 경우 울산과는 자동차, 경남과는 선박분야에 있어 협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duction spillover effect and feedback effect among three regions, Busan, Ulsan, Gyeongnam, using Korea’s regional input-output table(2005, 2015).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regions’ production interdependence measured by interregional spillover and feedback effect is relatively higher compared to interdependence with other regions. Especially the dependence of Busan on the two regions is higher than the dependence of two regions on Busan in the production. This means that Busan’s production cooperation with the two regions is critical for its production growth. However measured by interregional production spillover effect, the interdependence among the three regions in 2015 got weaker than in 2005. Also the production feedback effect among the three regions got weaker over the two years. These results show that in th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spect, more active production cooperation among the regions is needed. The cooperation should be made in the industries which has higher production spillover effect and feedback effect among the three regions. The results show that those industries are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example, automotive industry for Busan and Ulsan, shipbuilding industry for Busan and Gyeongnam.

목차

Ⅰ. 서론
Ⅱ. 산업생산의 파급효과 및 피드백효과의 분석방법
Ⅲ. 분석결과 및 해석
Ⅳ.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완중(Kim, Wan-Joong). (2021).부·울·경 지역의 산업생산연계성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9 (3), 5-29

MLA

김완중(Kim, Wan-Joong). "부·울·경 지역의 산업생산연계성 분석." 한국지역경제연구, 19.3(2021):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