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이용수  92

영문명
A study on Vietnamese-Korean transl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aspects of the film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Phan Hoang My Thuong 권순희(Soon Hee Kwon)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5호, 271~30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 영화 <그린 파파야 향기>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베트남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가 겪는 언어적-문화적 어려움을 밝히고, 그들의 베트남어-한국어 번역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및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베트남A대학교 <통번역이론> 수강생 95명을 대상으로 번역 활동을 실행한 후 결과물을 수집 분석하고, 그중 5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번역 양상을 분석한 결과 베트남인 학습자의 베-한 번역 문제점은 구어체와 문어체의 혼동, 화자와 청자 간의 호칭어-지칭어 혼동, 다의어 관련 대응어 선택 문제점, 한국어 경어법 오류, 시대적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 문제, 사회-정서 감수성 차이가 드러났다. 이 결과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번역 결과물과 전문가의 영화 자막 번역본을 비교하게 하는 번역 교수법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베-한 번역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베트남의 사회.문화적 맥락 관련 배경지식을 넓히는 교육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hallenges encountered by Vietnamese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during the translation of the Vietnamese film into Korea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suggest educational strategies to enhance the Vietnamese-Korean translation skills of these learners. Employing an innovative translation teaching approach, the first step involves analyzing the learner’s translation patterns, while the second step entails comparing the learner’s translations with those of experts who have translated movie subtitles. The primary focus is on augmenting the learner’s translation proficiency and fostering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ighlight several difficulties faced by Vietnamese learners in translating from Vietnamese to Korean. These challenges include confus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mbiguity in distinguishing addressants and referents among speakers and listeners, difficulties in selecting appropriate words in the context of polysemy, errors in utilizing Korean honorifics, challenges in recognizing contemporary social issues, and variations in socio-emotional sensitivity. These pattern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Consequently, drawing on the outcomes of participant perceptio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comprehensive contents are proposed from both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o address the identified issu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작품 선정 이유
3. 연구 방법
4. 베-한 번역 양상 분석
5. 베-한 번역 교육 내용 제시
6.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Phan Hoang My Thuong,권순희(Soon Hee Kwon). (2024).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 271-309

MLA

Phan Hoang My Thuong,권순희(Soon Hee Kwon).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2024): 271-3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