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f Korean ‘Ida’ and Arabic ‘Kaana’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마이 아흐메드(Ahmed, Mai)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5호, 29~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이다'의 특성과 아랍어 “كان”(kana)의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كان”(kana)에 대한 문법 연구와 '이다'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 후, 서로 다른 관점을 정리하고 '이다'와 “كان”(kana)의 특성을 비교하여 두 구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كان”(kana) 기능동사는 문장에서 물리적으로 표현되지 않아도 인지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형이상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이다'의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측면이다. '이다'와 “كان”(kana)모두 시제와 화법을 나타내며 (명사가 나타낼 수 없는 문법적 성분이므로), 문장 구조를 보조하여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كان”(kana) 구문의 두 번째 요소는 대체로 술어로 간주되지만, '이다' 구문의 동일한 성분은 가설에 따라 해당 범주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abic ‘kaana’. The paper attempted to organize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ita’ and ‘kaana’ and then compare these perspectives’ findings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conclusion, both ‘ita’ and ‘kaana’ show many similarities but also some differences. The comparison also shows that ‘kaana’’s function which is realized cognitively without it having to physically appear in the sentence was not considered in research of ‘ita’ as a metaphysical meaning of the functional verb. Both ‘ita’ and ‘kaana’ aid the sentences they appear in with the inflection of different grammar components as the sentences are composed of nouns that are not suited to reflect tense of action or speech act. But whereas ‘kaana’’s phrase’s second compound is usually considered a predicate, the same component in ‘ita’’s phrase has a lot of debate on its class depending on the theory.
목차
1. 서론
2 ‘كان’(kaana)의 특성
3. ‘이다’의 특성
4. 이다’와 ‘kaana’의 특성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T 기술을 활용한 발음 학습이 학습자의 발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타버스 기반의 의사소통적 한국어 말하기 과제 개발 연구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분석
- 한국인 중국어 초급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 불안 연구
- 카자흐 국립사범대학교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한국어의 ‘이다’와 아랍어의 ‘كان(kaana)’ 대조 분석
-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
- 튀르키예 학습자용 한국어
- 현실 발음 교육 내용과 현장 적용에 관한 한국어 교사 인식 연구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