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이용수  142

영문명
Teaching Anxiety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in Uzbekistan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오선경(Sunkyung Oh) 이아름(Ahreum Lee)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5호, 95~12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현지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가 갖는 교수 불안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해결 방법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지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교수 불안 측정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조사 결과, 우즈베키스탄인 교사들의 불안감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교실 상황, 쓰기 교육, 발음에서는 상대적으로 불안감이 높았다. 이는 현지에서 주로 초급을 담당하는 교수 환경과 응답자들의 높은 학력, 한국어 수준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응답자의 교육 경력, 한국어 실력, 유학 경험이 교수 불안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항목들이 있음을 밝혔다. 분석을 통해 본고는 교수 불안감을 더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현지 상황을 고려한 교사 교육, 쓰기 및 발음 교육 강화, 한국 연수 기회 제공, 동료 교사와의 협력 체계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우즈베키스탄인 현지인 교사 양성 과정 및 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level of teaching anxiety among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Uzbekistan and explore solutions and support measur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 local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of them. As a result, the level of anxiety among Uzbek teachers was not high overall, but anxiety was relatively high in classroom situations, writing instruction, and pronunciation.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teaching environment in Uzbekistan, where teachers primarily handle beginner levels, as well as the respondents’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oficiency in Korean. In addition, there were some items in which the respondent’s educational experienc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study abroad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teaching anxiet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reduce teaching anxiety: including teacher education that considers local situations, strengthening writing and pronunciation edu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Korea, and supporting a cooperation system with fellow teacher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Uzbek local teacher education and designing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교수 불안감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경(Sunkyung Oh),이아름(Ahreum Lee). (2024).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이중언어학, (), 95-126

MLA

오선경(Sunkyung Oh),이아름(Ahreum Lee).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이중언어학, (2024): 95-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