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onunciation in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안성민(Sung-min An)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5호, 67~9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어 발음 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기존 연구가 주로 모어의 영향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선택된 자음의 위치, 품사 정보, 어휘 난이도와 같은 언어 내적 요인들이 발음 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세심하게 분석한다. 연구 결과, 몽골인 학습자들의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율은 23.3%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음을 따르는 환경에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음 탈락 과정이 상당한 도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숙달도별 분석은 초급자와 중고급자 간의 발음 오류 패턴에서 명확한 차이를 드러내냈는데 이는 초급에서 중급으로의 전환 시기가 발음 교정에 있어 중요한 시점임을 나타낸다. 품사 정보와 어휘 난이도의 영향은 특히 중고급 학습자들에게 두드러졌다. 이는 발음 교육에서 품사별 발음 규칙과 어휘 난이도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발음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며,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적용 가능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 pronunciation among Mongolian learners.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focused primarily on the influence of the mother tongue, this study meticulously analyzes the impact of linguistic internal factors such a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consonant, part of speech information, and lexical difficulty on pronunciation errors. The study found that the error rate for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among Mongolian learners is 23.3%, with a notably higher error rate in environments following a consonant. Th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consonant elision poses a significant challenge. The analysis of proficiency levels revealed a clear distinction in error patterns between beginners and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indicating that the transition from beginner to intermediate level is a crucial juncture for pronunciation correction. The influence of part of speech information and lexical difficulty wa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underscoring the need for a clear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part of speech-specific pronunciation rules and lexical difficulty in pronunci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hold educational value applicable to learners from diverse linguistic background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음절말 자음군 발음 오류 양상과 특성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T 기술을 활용한 발음 학습이 학습자의 발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타버스 기반의 의사소통적 한국어 말하기 과제 개발 연구
-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말 자음군 발음 분석
- 한국인 중국어 초급 학습자의 중국어 발음 불안 연구
- 카자흐 국립사범대학교 한국어교육 현황과 발전 방향
- 한국어의 ‘이다’와 아랍어의 ‘كان(kaana)’ 대조 분석
-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
- 튀르키예 학습자용 한국어
- 현실 발음 교육 내용과 현장 적용에 관한 한국어 교사 인식 연구
-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베-한 번역 교육 연구
- 우즈베키스탄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