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

이용수  126

영문명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Focusing on ‘Virtual Simulation Korean Education System based on a Multi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천시우시우(Xiuxiu Chen) 최은경(Eun-Kyung Choi)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5호, 209~24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를 공유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에 적용된 이론적 배경은 상황인식 이론과 OBD(Outcome-based Program Development) 디자인 원리를 바탕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개발 과정은 약 1년 반에 걸쳐 완료되었으며, 사전 조사 및 팀 구성, 유닛 및 콘텐츠 구성, 스크립트 및 활동 개발, 녹음 및 기술 개발, 구현 및 테스트 단계로 구성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4개 유닛, 10개 장면을 선정하였다. 여기에는 한국 개요, 제주 민속 문화, 전통 의상, 음식 문화, 전주 등 역사적 명소, 한국의 궁궐, 취업 면접, 서울대학교(정문), 경복궁, 한중 역사 교류 등 다양한 문화적 측면이 포함되었다. 교육 시스템 개발 후 총 121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이 시스템이 학생들의 다문화 의사소통 능력과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창의적인 측면과 이슈, 제언을 제시하였다.본 논문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를 공유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에 적용된 이론적 배경은 상황인식 이론과 OBD(Outcome-based Program Development) 디자인 원리를 바탕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개발 과정은 약 1년 반에 걸쳐 완료되었으며, 사전 조사 및 팀 구성, 유닛 및 콘텐츠 구성, 스크립트 및 활동 개발, 녹음 및 기술 개발, 구현 및 테스트 단계로 구성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4개 유닛, 10개 장면을 선정하였다. 여기에는 한국 개요, 제주 민속 문화, 전통 의상, 음식 문화, 전주 등 역사적 명소, 한국의 궁궐, 취업 면접, 서울대학교(정문), 경복궁, 한중 역사 교류 등 다양한 문화적 측면이 포함되었다. 교육 시스템 개발 후 총 121명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이 시스템이 학생들의 다문화 의사소통 능력과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창의적인 측면과 이슈,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ality of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pplied to this system was developed from a multi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based on situational awareness theory and Outcome-based Program Development design principles. The development process was completed over a period of one and a half years and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and team formation, unit and content construction, script and activity development, recording and technic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testing stag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and interviews conducted with 25 students prior to development, four units and ten scenes were selected with a focus on multicultural communication. These include various cultural aspects such as an overview of Korea, Jeju folk culture, traditional costumes, food culture, historical landmarks like Jeonju, Korean palaces, job interviews, Seoul National University(main gate),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history of Sino-Korean exchanges. After developing the education system,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1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ystem can improve students’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bilitie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inally, the study presents the creative aspects, issues, and opinions regarding the developed system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시각으로 개발된 가상 시뮬레이션 한국어 교육 시스템
4. 가상현실 기반 시스템 실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시우시우(Xiuxiu Chen),최은경(Eun-Kyung Choi). (2024).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 이중언어학, (), 209-248

MLA

천시우시우(Xiuxiu Chen),최은경(Eun-Kyung Choi). "가상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 개발의 실제." 이중언어학, (2024): 20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