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merican Theatrical Exhibition Industry in the Post-Hollywood Er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송낙원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4호, 299~33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1980s to 1990s, the Post-Hollywood Era defined as a second New Hollywood, a variety of investment and operating strategies have tried in the theatrical exhibition industry. This changing has led to fundamental alterations in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segment. Some of big cinema chains have failed, while others have servived. And new competitors emerged have been into the Top class of the market. This analyzes the contemporary american theatrical exhibiton industry from the mid-1980s throughout 1990s to the early 2000s, and checks the main points to make the deep and rapid change of exhibiton window's paradime. The strategies hold the top multiplex and megaplex cinema chains in the media merging age, were concentration, vertical integration, and diversification. These became to the major trend to increase in both screens and product supply, espacially blockbuster movies. However, by early 1990s, all three strategies were abandoned because of they exposed themselves as weak in their ability to impove the profit or the dealing power with the distributors. The cinema chain have already pressured under the heavy debt spent to build new muliplex sites and M&A other exhibition chain, but the net profit couldn't turn to the positive. Through the mid-1990s, new competitors and old rivals in the american theatrical exhibition industry have concentrated on getting back to basic, the show of the motion picture itself.
목차
1. 서론
2.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과 극장 산업
3. 새로운수직 통합화
4. 대형 극장 체인으로의 집중화
5. 복합 미디어 산업에서 단일 극장 산업으로의 분산화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멜로드라마에 나타난 남녀/관계 재현의 변화
- 우리 영화의 기원으로서 연쇄극에 관한 시론
- 영화교육 및 교직과정 연구
- 한국 영화에서 작가(주의) 담론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 분석을 통한 영화의질적 기여도에 대하여
- 정보의 바다에서사이버그는 무엇을 꿈꾸는가?
- 포스트 할리우드 시대의 미국 극장 산업의 변화
- 각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촬영감독 콘래드 홀에 대한 연구
- 1920년대 초 조선총독부 활동사진반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미의 변화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샤이닝>에 있어서 다양한 시점숏의 의미 분석
- 희생양그리고 민족적 알레고리로서 여성이미지 분석
- 한국영화의 생존력 제고를 위한 연구
- 국내 멀티플렉스의 현황과 시설변화 추이
- 현대 한국영화에서 프로듀서의 중요성과 역할 연구
- 필름과 비디오의 MTF 비교
- Buster Keaton 코미디 원형에 대한 연구
- 보이스오버의 유형과 1960년 전후의 한국영화
- 영화적 시각의 변형에 대한 연구
- 조선무성영화 변사의 기능적 고찰과 미학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